국내 주요 대기업의 지난해 이사회 안건에 대한 사외이사들의 찬성률이 무려 99%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외이사들이 이사회 안건에 보류와 기권을 포함한 반대표를 단 한 번도 던지지 않은 기업도 90%나 됐다. 기업 데이터를 분석하는 ‘CEO스코어’가 주주총회 소집공고 보고서를 제출한 181곳을 조사한 결과다. 1인당 평균 연봉이 2억 원을 넘는 삼성전자는 물론 1억 원대인 현대차 LG전자 현대모비스 삼성물산 사외이사들도 이사회 안건에 100% 찬성했다.
외부인의 시각에서 쓴소리를 해야 할 사외이사들이 사실상 ‘거수기’로 전락한 건 KB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도 마찬가지였다. 지난해 논의된 총 162건의 이사회 안건 중 사외이사가 반대 의견을 낸 경우는 전무했다. 이들의 작년 평균 보수는 7,500만 원이었다.
받는 돈이 많고 단순히 찬성률이 높다는 이유로 사외이사들을 비난할 순 없다. 그러나 지난해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문 적자가 15조 원에 달하고 전체 영업이익도 85%나 감소했다. 인공지능(AI) 물결에 제때 대응하지 못한 탓이 크다. 대주주와 경영진 책임이 크지만 사외이사들도 제 역할을 했는지 의문이다. 5대 금융지주도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과 해외 부동산 투자에서 큰 손실을 봤다. 전문성을 갖춘 사외이사들이 독립적인 지위에서 견제하고 감시하는 노력을 다했다면 줄일 수 있었던 위기가 더 커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외이사들의 초호화 출장도 매년 반복되는 문제다. 포스코홀딩스는 캐나다에서 이사회를 열며 한 끼 식사에 2,500만 원을 지불해 물의를 빚었다. KT&G도 사외이사들 해외 출장에 회삿돈 수천만 원을 써 문제가 됐다. 1998년 기업지배구조개선 방안 중 하나로 도입된 사외이사 제도가 경영진과 사외이사들의 유착에 '이익 카르텔'로 변질된 지 오래다. 전직 관료와 교수들만 혜택을 누리며 ‘그들만의 리그’가 된 사외이사 제도를 이젠 뜯어고칠 때다. 대상 폭을 넓히면서 전문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면 재수술해 당초의 취지를 살리는 게 중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