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시장예상치(0.6% 수준)를 훨씬 넘는 1.3% ‘깜짝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성장률(속보치)은 2021년 4분기(1.4%) 이후 2년여 만의 최대치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도 3.4%로 시장예상치 2.4%를 크게 상회했다. 수출과 건설투자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소비도 다소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 부진의 기저효과 등을 감안하면 추세를 낙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부문별로는 2.7% 성장한 건설투자의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양호한 기상 여건, 일부 사업장의 마무리 공사 진행 등으로 기성이 늘면서 성장률이 큰 폭의 플러스(+)로 돌아섰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반도체와 휴대전화 등 정보기술(IT) 품목의 호조로 수출이 0.9% 성장하고, 민간과 정부 소비도 각각 0.8%, 0.7% 늘어 깜짝 성장을 뒷받침했다. 반면 설비투자는 0.8% 줄어 가라앉은 기업 경기를 반영했다.
2022년 4분기에 0.3% 마이너스 성장한 전기 대비 분기 성장률은 이후 0.3~0.6% 미약하지만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해왔다. 여기에 지난 1분기 깜짝 성장이 이어지면서 한은의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1%에서 2%대 중반까지 상향 조정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등 주력 상품 수출이 호조인 데다, 국제유가 등 대외변수도 개선 가능성이 더 크다. 또 다소 지연되고 있지만 금리도 하방 추세여서 내수 여건도 더 악화하진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반영된 기대다.
하지만 중동이 여전히 불안하고, 중국 경기 불안, 미ㆍ중 갈등 격화와 공급망 재편 등의 부작용으로 순식간에 여건이 악화할 위험도 만만치 않다. 따라서 정부로서는 낙관보다 여차하면 경기진작책을 가동할 ‘플랜B’도 미리 준비해둘 필요가 크다. 야당이 ‘영수회담’에서 제기하겠다는 ‘전 국민 25만 원 지급’을 위한 추경 편성은 매우 무리하지만, 재정 투입효과를 극대화하는 별도 경기진작 대비책을 진지하게 논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