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35세 이상 산모 급증하는데… 전문 의료진 감소·협진 붕괴

입력
2024.05.07 13:00
수정
2024.05.13 14:06
3면
0 0

[산모가 또 죽었다: 고위험 임신의 경고]
11년 간 산모 389명 아기 낳다가 사망
한국 산모 10명 중 4명은 고위험 노산
대학병원 병상 구하기 '하늘의 별 따기'
"산과 의사들 무너지면 재앙적 상황"

편집자주

11년 간 아기를 낳다가 사망한 산모는 389명. 만혼·노산·시험관·식습관 변화로 고위험 임신 비중은 늘고 있지만, 분만 인프라는 무너지고 있습니다. 한국일보 엑설런스랩은 100일 동안 모성사망 유족 13명, 산과 의료진 55명의 이야기를 통해 산모들의 안타까운 사연과 붕괴가 시작된 의료 현장을 살펴보고 안전한 출산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도 고민했습니다.


3월 14일 분당서울대병원 수술실에서 산모의 제왕절개 수술이 마무리된 뒤 신생아가 인큐베이터에 넣어져 이동하고 있다. 정다빈 기자

3월 14일 분당서울대병원 수술실에서 산모의 제왕절개 수술이 마무리된 뒤 신생아가 인큐베이터에 넣어져 이동하고 있다. 정다빈 기자

저출생·고령화의 여파로 산모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만혼과 고령 출산이 자리 잡은 상황에서, 난임 시술 증가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고위험 임신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위험 임신은 워낙 형태가 다양해 정의하는 것조차 쉽지 않지만, 보통 노산(출산 시점 만 35세 이상)을 기준으로 대략의 규모를 가늠한다.

고위험 임신은 유산과 조산, 심하면 사산으로 이어진다. 태아가 사망하거나, 비극 중의 비극인 모성사망(산모가 임신 중 또는 임신 후 42일 내 사망하는 것)까지 발생할 수 있다. 문제는 고위험 산모의 안전한 출산을 돕는 전문 의료진이 감소하고 있어, 모성사망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그래픽 = 강준구 기자

그래픽 = 강준구 기자


산모 10명 중 4명 노산…임신 합병증 위험

7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산모의 평균 연령은 33.5세다. 지난 10년간 한 번도 줄어든 적이 없으며, 다른 국가와 비교해도 이례적으로 높다. 2020년 기준 대한민국 산모의 첫째 아이 출산 연령은 32.3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평균(29.3세)보다 세 살 많다.

그래픽 = 강준구 기자

그래픽 = 강준구 기자

가장 우려되는 점은 고위험 산모로 분류하는 35세 이상 산모 비율이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2008년 14.3%에 그쳤지만, 2022년에는 35.7%로 2.5배 증가했다. 산모 10명 중 4명 가까이가 고위험 산모라는 의미다. 고위험 산모는 정상 임신한 산모보다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대한산부인과학회가 2012년 발표한 고위험 임신 판단 기준에 따르면, 노산이 아니더라도 △비만(체질량지수 23㎏/㎡ 이상) △당뇨 △고혈압 △다태아 △정신과적 문제 △내과·산과적 질병 등의 인자가 있으면 고위험 임신에 해당한다.

위험 신호는 출산 현장에서 가장 먼저 감지된다. 박지윤 분당서울대병원 고위험산모·신생아통합치료센터 교수는 "외래 진료를 하다 보면 산모 나이가 대부분 35세 이상이다. 어느 날은 산모가 전부 40대였던 날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병원 내 고위험산모센터, 신생아집중치료실 병상은 계속 꽉 차 있다. 병상이 없어 전원 요청을 거절한 사례가 매년 300건에 이른다"고 전했다.

11년 간 산모 389명 아이 낳다 사망

한국일보가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를 이용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모성사망을 분석한 결과, 11년간 산모 389명이 아이를 낳다가 사망했다. 사망 당시 평균 나이는 33.6세였다. 사망 원인으로는 양수색전증(양수에 대한 급성 알레르기 반응)이 62명(15.9%)으로 가장 많았고, 분만직후 출혈이 48명(12.3%), 혈전이 폐를 막는 폐색전증이 44명(11.3%)으로 뒤를 이었다. 사망 시점을 보면, 출산 후 24시간 이내 사망한 이들이 126명(32.4%)으로 가장 많았다.

그래픽 = 강준구 기자

그래픽 = 강준구 기자

우리나라 모성사망비(신생아 10만 명당 사망한 산모 수)는 매년 8~11명대에서 유지되고 있다. 코로나19가 극심했던 2020년 11.8명까지 올랐지만, 2022년에는 8.4명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OECD 국가들을 모성사망비가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대한민국은 38개국 중 26위에 해당한다. 이웃나라 일본은 3.3명이고 스위스와 네덜란드 등은 1명대를 기록하고 있어, 우리나라보다 훨씬 안전하게 출산하고 있다.

그래픽 = 강준구 기자

그래픽 = 강준구 기자

황종윤 강원대 고위험산모·신생아통합치료센터장은 "출산 연령이 세계 최고 수준이고 고위험 산모가 많은데도, 모성사망비가 그나마 10명 안쪽으로 유지될 수 있는 건 산과 의사들이 악조건 속에서도 잘 버텨주고 있기 때문"이라며 "어느 순간 둑이 무너지면 재앙적 상황이 닥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돌아오지 못한 산모들: 모성사망 103건 아카이브 인터랙티브 기사도 읽어보세요. 산모가 출산 중 왜 사망했는지 객관적 상황들과 유족 13분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제목이 클릭이 안 되면 아래 주소를 입력하세요. https://interactive.hankookilbo.com/v/pregnancy-grid/

고위험 임신 자가진단: 나와 아기를 지키는 첫걸음 인터랙티브 자가진단도 해보세요. 고위험 임신 위험 인자를 미리 알면 향후 임신 합병증을 미리 대비할 수 있습니다. 제목이 클릭 안 된다면 아래 주소를 입력하세요. https://interactive.hankookilbo.com/v/pregnancy-selftest/



이성원 기자
박준석 기자
송주용 기자
한채연 인턴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