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봄학교는 저에게 선물 같은 정책입니다.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미술을 가르치고 싶다는 제 꿈을 이어갈 수 있어서 행복합니다.”
늘봄학교에서 만난 어느 강사의 말이다. 아이들에게는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학부모에게는 양육 부담을 덜어 드리겠다고 했던 늘봄학교가 이제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경력이 되고, 꿈의 무대가 되고 있다. 이는 늘봄학교가 단순한 돌봄이 아니며, 종합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공교육의 확장이자 혁신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교육청은 늘봄학교를 위해 지자체, 대학, 기업, 민간 협회·단체 등과 협력하며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교육청이 분주한 만큼 초등학교 공교육의 외연이 확장되고 있다. 대학 교수가 늘봄학교 강사가 되고, 다양한 시설을 갖춘 지자체 체육관에서 체육수업이 이루어지고, 더 크고 넓은 지역 도서관에서 독서 수업을 하고 있다.
시장, 교육감, 군수 등 지역 인사들이 늘봄학교 일일 특강에 연일 나서고 있다. 늘봄학교를 통해 꿈을 이어간다고 말했던 어느 강사처럼 지역의 숨은 인재도 모여들었다. 이렇듯 늘봄학교는 마치 온 지역사회가 마련한 우리 아이들을 위한 잔치와도 같다. 3월 초에 약 1만 명이던 늘봄 강사는 한 달 만에 약 1만 7,000명까지 늘었다. 교육청이 내민 ‘협력의 손’에 악수로 화답하는 지역사회 구성원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협력은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2월 말 대통령께서 주재 한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는 늘봄학교를 주제로 중앙부처 장관과 17개 시도지사, 17개 시도 교육감이 처음 한자리에 모였다. 각 지역의 사례를 공유하며 늘봄학교 성공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았다. 모두가 강조한 것은 온 사회의 협력이었다. 회의 이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정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늘봄학교 범부처 지원본부’를 구성했다. 현재 17개 부처·청, 17개 시도와 시도교육청이 참여하고 있다. 이제 늘봄학교는 학교만의 일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일이다.
적극적인 협력과 노력은 성과로 돌아왔다. 늘봄학교 완성까지 아직 가야 할 길이 멀고 여러 우려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통해 늘봄학교가 꼭 가야 할 길이라는 것이 다시금 입증되었다. 우선 기존의 초등 돌봄 대기자가 사라졌다. 매년 3월에는 초등학교 돌봄교실 탈락과 대기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교육 분야 뉴스의 주를 이뤘었다. 그러나 올해는 전무하다. 재작년에 1만 7,000여 명, 작년에 1만 5,000여 명이던 돌봄 대기자가 올해 늘봄학교를 도입한 학교에는 0명이기 때문이다. 작년에 초등학교 1학년의 약 30% 정도가 돌봄교실을 이용했는데, 올해 늘봄학교에서는 혜택을 받는 학생이 두 배나 늘어 초등학교 1학년의 약 70%가 돌봄을 비롯하여 늘봄학교를 이용하고 있다. 학부모의 만족도 높다. 시도교육청의 만족도 조사 결과, 90%가 넘는 학부모가 만족한다고 응답한 곳도 있다.
숫자로 드러난 성과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대통령께서 늘봄학교를 네 차례나 방문하고, 국무총리를 비롯해 각 부처의 장·차관이 일일 강사로 학교를 방문해 아이들을 만나면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가 세상에 드러났다. 학생은 “학원에서는 학교 친구들과 같이 수업을 들을 수가 없는데 늘봄학교에서는 친구들과 함께하는 수업을 더 들을 수 있어서 좋아요”라고 했고, 학부모는 “한 달 사교육비를 20만 원은 아낀 것 같다”라며 늘봄학교 정책을 계속 추진해 달라고 했다.
늘봄학교 행정업무 담당자는 “늘봄학교 때문에 경력 단절을 극복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얻게 되었다”라고 했고, 25년 경력의 교사는 “지금까지 초등교육을 위해 이렇게 온 사회가 움직인 적이 없었다”라며 늘봄학교를 통해 공교육이 더욱 신뢰받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늘봄학교 성과의 중심에는 학교의 헌신이 있었다. 교장, 교감, 교사를 비롯하여 학교 모든 구성원의 노력이 있었다. 특히, 우리 아이들의 교육에 관련된 일이라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살피겠다는 교육자로서의 마음가짐이 늘봄학교가 앞으로 나아가는 데 가장 큰 힘이 되고 있다. 늘봄학교를 단순한 돌봄이 아닌 종합 교육으로 이해하고, 늘봄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자유롭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학교가 공감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나서야 한다’라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 중앙정부, 교육청, 지자체, 지역대학, 지역사회, 학교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늘봄학교를 만들어 가고 있다. 대통령께서도 거듭 강조하듯 우리나라의 미래인 아이들을 위한 일은 국가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추구하는 늘봄학교의 최종 목적도 아이들의 행복이다. 우리 아이들이 늘봄학교에서 질 좋고 다양한 교육 기회를 자유롭게 누리며 행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