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만에 0.85%포인트 올라
"연체율 높아 보여도 잘 관리되는 것"
올해 1분기 전 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3.55%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부는 사업장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하면 리스크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은 5일 합동으로 '제2차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 점검회의'를 열고 지난달 발표한 정책의 세부 방안별 향후 추진 일정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14일 정부는 PF 사업장별 4단계 사업성 평가를 거쳐,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사업장은 금융사가 적극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내용의 연착륙 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사업성 평가를 7월 초까지 완료하고 8월부터 금감원이 직접 사후관리 진행 상황을 점검해나가기로 결정했다.
최근 부동산 PF 연체율은 고공행진 중이다. 3월 말 기준 잔액 134조2,000억 원인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3.55%로, 지난해 말(2.7%)보다 0.85%포인트 올랐다. 2022년 말(1.19%)에 비하면 연체율은 3배나 급등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권이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위해 본PF 전환이 지연된 브리지론 예상 손실을 100%로 인식하도록 하는 등 조치를 취했다"며 "이 때문에 연체율이 높아 보일 순 있지만 사실상 관리가 잘되고 있는 상태"라고 강조했다.
업권별로 보면 대출잔액이 8조7,000억 원 남은 증권업계 연체율이 17.57%로 3개월 만에 3.84%포인트 치솟았고, 저축은행은 잔액 9조4,000억 원을 남기고 연체율이 11.26%에 달했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무려 4.3%포인트나 늘었다.
그럼에도 정부가 PF 상황을 위기로 보지 않는 이유는 △PF 대출의 65%가 비교적 건전성이 양호한 은행과 보험사로부터 이뤄진 것이고 △과거 저축은행 사태 당시의 연체율(13.62%)에 비하면 아직 여유가 있는 상황인 데다 △돌아오는 대출 만기가 고르게 분포돼 갑작스러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증권사와 저축은행 등 연체율이 높은 업권도 자본비율이 높고, 상당한 충당금을 쌓아놓은 상태라는 점도 감안됐다.
금융위는 이번 PF 연착륙 대책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경우 신규 자금이 공급되면서 PF 대출잔액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부실사업장에 걸려 있는 연체 규모가 줄어 연체율 관리가 더욱 쉬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