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윤 대통령 "北 위협 좌시하지 않겠다… 평화는 힘으로 지키는 것"
알림

윤 대통령 "北 위협 좌시하지 않겠다… 평화는 힘으로 지키는 것"

입력
2024.06.06 12:10
수정
2024.06.06 17:44
0 0

제69회 현충일 추념사
오물 풍선 겨냥 "북 비열한 도발"
"북한 정권은 퇴행의 길"
"부강한 통일 대한민국... 우리가 더 강해져야 가능"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최근 '오물 풍선'을 날린 북한의 행위를 '비열한 도발'로 규정하고 "정부는 북한의 위협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평화는 굴종이 아니라 힘으로 지키는 것"이라며 '한미동맹'과 '국제사회 협력'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대한민국을 지켜낸 당신의 희생을 기억합니다'를 주제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작심하고 북한의 도발에 강한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서해상 포사격과 미사일 발사에 이어 최근에는 정상적인 나라라면 부끄러워할 수밖에 없는 비열한 방식의 도발까지 감행했다"고 언급하면서 "지금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밝은 나라가 됐지만, 휴전선 이북은 세계에서 가장 어두운 암흑의 땅이 됐다. 이곳에서 불과 50㎞ 남짓 떨어진 곳에 자유와 인권을 무참히 박탈당하고 굶주림 속에 살아가는 동포들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은 역사의 진보를 거부하고 퇴행의 길을 걸으며,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현충탑에 참배하며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현충탑에 참배하며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이 추념사에서 북한의 도발에 인권문제까지 꺼낸 것은 최근 정부가 취한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정지 조치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이 "평화는 굴종이 아니라 힘으로 지키는 것"이라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윤 대통령은 "철통같은 대비 태세를 유지하며 단호하고 압도적으로 도발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한층 더 강해진 한미동맹과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토대로 국민의 자유와 안전을 단단히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 동포들의 자유와 인권을 되찾는 일, 더 나아가 자유롭고 부강한 통일 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일도 결국 우리가 더 강해져야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순국선열과 국가유공자 가족에 대한 지원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보훈 의료 혁신을 통해 국가유공자 의료서비스를 개선하고 재활 지원을 확대하겠다"며 "안타깝게 순직하신 영웅들의 유가족은 무슨 일이 있어도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또 "작년에 시작된 '히어로즈 패밀리' 프로그램을 더욱 확장해 한 자녀, 한 자녀를 내 아이들처럼 꼼꼼하게 보살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을 지키고 나라를 지키기 위해 복무하다가 순직한 김수광 소방장과 박수훈 소방교, 한진호 해군원사의 이름을 차례로 언급했다.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추념식을 마치고 국립서울현충원 내 ‘학도의용군 무명용사탑’을 찾아 참배했다. 이곳에는 1950년 8월, 한국전쟁 중 경북 포항지구 전투에서 전사한 48위의 유해가 안장돼 있다.


김현빈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