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전국에 말라리아 주의보...이른 더위에 작년보다 1주 빨라
알림

전국에 말라리아 주의보...이른 더위에 작년보다 1주 빨라

입력
2024.06.18 11:41
수정
2024.06.18 14:05
0 0

이달 2∼8일 강화·파주·철원 기준 충족
"원인 불명 발열 시 의료기관서 검사"

지난 11일 경기 수원시 장안구의 한 주택가에서 보건소 방역 관계자들이 모기유충 방제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지난 11일 경기 수원시 장안구의 한 주택가에서 보건소 방역 관계자들이 모기유충 방제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질병관리청이 18일 전국에 말라리아 주의보를 발령했다. 더위가 일찍 시작되면서 주의보 발령도 지난해보다 1주일 앞당겨졌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23주 차(6월 2∼8일)에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서울·인천·경기·강원)에서 채집된 얼룩날개모기 수가 주의보 기준에 도달했다. 주의보는 '모기지수'가 0.5 이상인 시·군·구가 세 곳 이상이면 발령된다.

모기지수는 모기 채집기(Black Light Trap) 한 대에서 하룻밤에 채집된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평균 마릿수다. 말라리아 위험지역 53개 시·군·구 가운데 23주 차 모기지수가 0.5 이상인 곳은 인천 강화군(0.8), 경기 파주시(0.8), 강원 철원군(0.6)이다.

올해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은 지난해보다 1주일 이르다. 말라리아 위험지역의 23주 차 최고기온(27.3도)이 평년 및 지난해 대비 약 2도 높아 모기의 활동도 그만큼 빨리 왕성해진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올해 들어 현재까지 신고된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23주 차까지 총 10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7명)에 비해 26.3% 줄었다. 지역별로는 경기에서 환자의 60.4%가 발생했다.

말라리아를 옮기는 얼룩날개모기. 질병관리청

말라리아를 옮기는 얼룩날개모기. 질병관리청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오한과 고열 등의 증상이 48시간 주기로 반복되고 두통이나 구토, 설사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야간에 외출을 자제하고, 방충망을 정비해 모기 침입을 막아야 한다. 말라리아 증상은 비특이적이라 위험지역 주민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발열 시 말라리아 검사를 받는 것도 중요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말라리아 매개모기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위험지역에서는 매개모기 방제를 강화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창훈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