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엔비디아 새 역사... MS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등극
알림

엔비디아 새 역사... MS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등극

입력
2024.06.19 06:37
수정
2024.06.19 14:21
0 0

18일 주가 최고치 경신, 시총 4600조 원
MS·애플 제치고 사상 첫 '시총 1위' 고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일 대만 타이베이 국립대만대 종합체육관에서 아시아 최대 IT박람회 '컴퓨텍스 2024' 개막에 앞서 열린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타이베이=AP 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일 대만 타이베이 국립대만대 종합체육관에서 아시아 최대 IT박람회 '컴퓨텍스 2024' 개막에 앞서 열린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타이베이=AP 연합뉴스


생성형(AI) 인공지능 열풍 최고 수혜주로 꼽히는 엔비디아가 18일(현지시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에 등극했다. 올 들어 무서운 기세로 시가총액 2조 달러와 3조 달러를 차례로 돌파한 엔비디아가 시총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미국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장보다 3.51% 오른 135.5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역대 최고치다. 이에 따라 종가 기준 엔비디아의 시총은 약 3조3,350억 달러(약 4,609조 원)가 됐다. 기존 세계 시총 1위였던 마이크로소프트(MS·3조3,173억 달러)와 애플(3조2,859억 달러)을 모두 압도한 것이다. 엔비디아는 전날까지만 해도 시총 3위였으나, 두 기업의 주가가 이날 소폭 하락하면서 마침내 시총 1위 자리를 꿰찼다.

엔비디아는 전 세계 AI 칩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 반도체 기업이다. 2022년 말 불어닥친 생성형 AI 열풍의 영향으로 설립 30년 만이었던 지난해 6월 시총 1조 달러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이후 지난 3월 1일 2조 달러를 돌파했고, 약 3개월 만인 이달 초 시총 3조 달러까지 넘어섰다. 시총 3조 달러를 넘긴 기업이 엔비디아가 처음은 아니지만, 이 같은 성장 속도는 전례가 없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174% 오른 상태다.

지난 4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IT박람회 '컴퓨텍스 포럼'에 참석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현장을 취재하던 기자들과 셀카를 찍고 있다. 타이베이=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4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IT박람회 '컴퓨텍스 포럼'에 참석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현장을 취재하던 기자들과 셀카를 찍고 있다. 타이베이=로이터 연합뉴스


다만 현재 1~3위 간 시총 차이는 500억 달러도 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분간 엔비디아와 MS, 애플 세 기업이 1위 자리를 두고 계속 엎치락뒤치락할 가능성이 크다. 웨드부시증권의 애널리스트 대니얼 아이브스는 "향후 1년간 시총 4조 달러를 향한 경쟁에서 엔비디아와 애플, MS가 최전선이자 중심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에 힘입어 이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도 전장보다 0.25% 오른 5,487.03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전날 최고가 기록을 경신했는데, 이날도 오르면서 올 들어서만 31번째 최고가 기록을 썼다.


실리콘밸리= 이서희 특파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