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푸틴 '국빈 방문' 맞아? 밤잠 못 이룬 김정은과 바로 작별, 왜?[북러정상회담]
알림

푸틴 '국빈 방문' 맞아? 밤잠 못 이룬 김정은과 바로 작별, 왜?[북러정상회담]

입력
2024.06.19 12:00
수정
2024.06.19 15:12
0 0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평양 도착 소식을 전하며 "최대의 국빈으로 열렬히 환영한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평양 도착 소식을 전하며 "최대의 국빈으로 열렬히 환영한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밤잠 못 자고 기다리게 만들었다. 북러는 푸틴 대통령의 북한 국빈 방문 일정을 1박 2일(18, 19일)로 공개했지만 정작 푸틴 대통령은 19일 새벽 2시 30분쯤 북한에 도착했다. 반나절가량 평양에 머무른 뒤 다음 행선지(베트남)로 이동한다. 지난해 9월 러시아를 방문한 김 위원장이 7박 8일간 머무른 것과 확연히 대조적이다.

러시아 크렘린궁은 19일 오전 2시 46분 텔레그램 채널을 통해 "푸틴 대통령이 북한 수도 평양에 도착했다"고 공개했다. 김 위원장의 국빈 초청에 따라 당초 18일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북한을 방문할 예정이었지만 예상보다 늦게 평양에 도착하면서 국빈 일정은 하루로 쪼그라들었다.

통상 정상국가 간 국빈 방문의 경우 최소 1박 이상의 일정을 소화한다. 국빈 초청받은 국가의 정상이 여러 국가를 한꺼번에 방문할 때가 아닌 경우라면 2박 이상의 일정을 잡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은 중앙아시아 3국을 방문하며 투르크메니스탄에서 1박, 카자흐스탄에서 2박, 우즈베키스탄에서 2박을 했다. 반면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한 국가만을 국빈 방문했을 때는 3박 일정을 소화했다. 이를 두고 악명 놓은 푸틴 대통령의 지각 버릇이 언급되고 있지만 그보단 여러 가지 정치적 의도가 담겨있다는 분석에 더 힘이 실린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해 국빈 방문을 시작한 가운데 19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 대합실 TV 화면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이 나오고 있다. 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해 국빈 방문을 시작한 가운데 19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 대합실 TV 화면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이 나오고 있다. 뉴시스

우선 러시아 입장에선 한국과 서방의 입장을 고려했을 수 있다. 북러는 이번 회담을 계기로 관계를 '포괄적전략동반자'로 격상할 참이다. 양측 협상과 합의가 모두 정리된 마당에 푸틴 대통령 입장에선 한국과 서방의 ‘북러 밀착’ 우려를 과도하게 자극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북한 역시 사전에 지각 방문을 받아들였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을 의식했을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 “북한의 증가하는 핵·미사일 위협은 (아시아) 역내에 더 많은 미군 주둔을 촉발할 수 있고 이는 중국에도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경고했다.

낮보다는 한밤중, 한밤중보다는 새벽이라는 시간을 활용해 ‘강인함’을 연출하려는 전략일 가능성도 없지 않다. 두 ‘불량국가’의 정상들이 국제사회를 향한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계산이라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핵 개발, 미사일 도발로 국제사회의 지탄을 받고 있는 러시아와 북한은 국제적으로 고립되는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내 정치용으로 늘 ‘강인함’을 과시해 왔다. 북한이 주요 국면마다 야간 열병식을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북한이 야간 행사를 진행하는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무기체계나 인물의 화려함이나 집중도를 과시하고 △위협적이고 강인함을 보여주기 위함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김현빈 기자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