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어린이 사망 원인 15%는 대기오염 탓… 매일 2000명 죽는다“
알림

“어린이 사망 원인 15%는 대기오염 탓… 매일 2000명 죽는다“

입력
2024.06.20 04:30
0 0

미 환경보건단체 ‘글로벌 대기 현황’ 보고서
“2021년 아동 72만 명 등 총 810만 명 사망”
아프리카 저소득 국가들 최대 피해 ‘불평등’

지난해 2월 2일 태국 방콕 도심 스카이라인 풍경. 짙은 매연과 안개로 온통 희뿌옇게 변해 버린 모습이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보여 주고 있다. 방콕=로이터 연합뉴스

지난해 2월 2일 태국 방콕 도심 스카이라인 풍경. 짙은 매연과 안개로 온통 희뿌옇게 변해 버린 모습이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보여 주고 있다. 방콕=로이터 연합뉴스

지구촌에서 매일 5세 미만 어린이 2,000명가량이 대기오염으로 숨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기오염은 영양실조에 이어 두 번째로 위험한 아동 사망 원인으로 꼽혔는데, 빈곤 국가 어린이들에게 최대 피해를 안기는 등 ‘환경 불평등’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 고혈압 이어 사망 원인 2위"

18일(현지 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 비영리 민간 환경보건단체 ‘보건영향연구소(HEI)’와 ‘보건계측평가연구소(IHME)’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대기 현황 2024’를 이날 공개했다.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도 참여한 이번 보고서는 2021년 전 세계 200개 이상 국가의 대기 질, 건강 영향 등 데이터를 포괄적으로 분석해 작성됐다.

연구 결과, 2021년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돼 사망에 이른 사람은 총 810만 명에 달했다. 3년 전 같은 기관 조사 때의 670만 명보다 19.4%나 늘어났다. 가디언은 “더러운 공기는 이제 고혈압 다음으로 일반인 사망률을 높이는, 흡연을 능가해 두 번째로 무서운 ‘살인자’가 됐다”고 짚었다. 초미세먼지(PM2.5)로 인해 실외는 물론, 실내 공기 오염까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지난해 4월 25일 중국 베이징에 짙은 황사가 낀 가운데, 한 여성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길을 걷고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지난해 4월 25일 중국 베이징에 짙은 황사가 낀 가운데, 한 여성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길을 걷고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대기오염 어린이 사망자, 3년 전보다 44% ↑

특히 우려할 대목은 어린이 사망자 급증 추세다. 2021년 대기오염으로 숨진 5세 미만 아동은 전 세계에서 71만9,000명으로, 같은 연령대 전체 사망자의 15%를 차지했다. 3년 전(50만 명 사망)과 비교하면, 무려 43.8%나 증가한 수치이기도 하다. HEI는 “이들 중 50만 명은 실내 공기 오염과 관련돼 있는데, 주로 숯이나 석탄 등 오염 물질 배출 연료를 사용해 요리를 한 결과”라며 “대기오염이 열악한 위생, 깨끗한 물 부족보다도 더 어린이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됐다”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은 가난한 나라에서 더 뚜렷했다. 아프리카 저소득 국가 대부분에서 ‘어린이의 대기오염 사망률’이 고소득 선진국 대비 5~100배나 더 높았던 것이다. HEI의 글로벌 보건 책임자 팔라비 판트는 “어린아이들과 노년층, 중·저소득 국가에 너무 많은 부담이 가해지고 있다”며 대기오염 노출의 불평등을 지적했다. 키티 판데르헤이던 유니세프 부국장은 “우리의 무대응으로 미래 세대의 건강과 삶이 악화하고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어린이 중심’ 조치를 취하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정우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