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외교안보(2+2)대화 결과 뒤늦게 발표
"양국 간 고위급 교류는 주권국 간의 사안"
북러 밀착 불쾌감 있어도 드러내지 않은 듯
중국이 18일 열린 한중 외교안보(2+2)대화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방문에 대해 "북러는 우호적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불편함을 내비쳤다는 한국 측 발표와는 온도차가 감지된 것이다.
19일 중국 외교부 발표에 따르면, 김홍균 제1차관과 중국의 쑨웨이둥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전날 오후 개최한 '한중 2+2 대화'에서 양자관계, 한반도 문제, 지역 및 국제정세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 대화에서 한국 측이 "북러 간 교류 문제를 언급했다"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 문제가 논의됐음을 시사했다. 다만 중국 측은 이 자리에서 "북러는 우호적인 이웃 나라로 교류·협력, 관계 발전에 정상적인 수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양국 간 고위급 교류는 주권국 간의 사안"이라며 사실상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두둔했다.
중국 측은 "한중 간 2+2대화는 한중관계 발전 필요성에 따라 사전에 합의된 일정으로, 다른 나라들 간 교류와는 특별한 연관성이 없다"고도 강조했다. 중국이 북중 간 밀착을 견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푸틴 대통령의 방북 일정에 맞춰 한중 2+2 대화를 열었다는 일각의 관측에 선을 그은 것이다.
이는 한국 측 전언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19일 중국 측이 이번 2+2대화에서 "북러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북러 간 밀착이 한반도 지역의 긴장 고조로 이어져선 안 된다는 뜻이다. 사실상 중국이 한국과의 대화에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대한 우려를 표시한 것으로 해석됐지만, 중국 외교부 공식 발표에선 다시 북러 간 왕래를 두둔하고 나선 것이다.
이는 중국 나름대로 '고심'을 거듭한 결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중국도 한반도 지역의 군사적 긴장 상승을 유발할 수 있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불쾌하게 여기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단 북한과 러시아의 뒷배 격인 중국으로선 북러 정상 간 만남을 노골적으로 반대할 수도 없는 처지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북러 간 정상적인 교류"라고 밝혔지만, 실제 의중은 한국 외교부 발표 내용에 더 가까울 수 있다는 얘기다.
아울러 중국은 한국이 2+2 대화 결과 보도문을 낸 지 16시간 만에야 중국 측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양자 간 회담 보도문을 상대국과 비슷한 시간대에 맞춰 내는 외교 관례를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 중인 당일 이에 대한 입장을 발표해야 하는 외교적 민감성 탓에 지연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