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채 상병 사건기록 이첩-회수 두고 분주했던 대통령실
알림

단독 채 상병 사건기록 이첩-회수 두고 분주했던 대통령실

입력
2024.06.26 18:33
수정
2024.06.26 22:24
6면
0 0

해병대수사단 기록 경찰 이첩-회수 사이
안보실장, 안보실 2차장 등 집중 연락해
윤석열-신범철 2차례 11분간 통화하기도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15일 경기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열린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을 참관하며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훈련상황에 대해 묻고 있다. 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15일 경기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열린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을 참관하며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훈련상황에 대해 묻고 있다. 서재훈 기자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인정한 사건 기록을 경찰에 이첩한 직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관계자들이 군 수뇌부들과 분주하게 연락을 주고받은 정황이 새롭게 드러났다. 게다가 윤석열 대통령이 이들이 집중 연락한 전후로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과 통화한 기록도 추가로 알려지면서 대통령실이 사건기록 회수 등에 전방위적으로 관여했다는 의혹이 짙어지는 모양새다.

26일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 신 전 차관 등의 통신기록(지난해 7월 28일~8월 9일)에 따르면, 국가안보실 소속 임 전 비서관, 임종득 전 2차장, 김모 대령은 지난해 8월 2일 낮 12시 이후 군 관계자들과 여러차례 연락을 주고받았다. 이날은 채 상병 사망사건에 대해 임 전 사단장 등 8명에 대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있다고 판단한 해병대 수사단의 사건기록이 경북경찰청에 이첩됐다가 회수된 날이다.

구체적으로는 김 대령은 낮 12시 51분부터 오후 6시 14분까지 김화동 전 해병대사령관 비서실장과 최소 3차례, 임 전 차장은 낮 12시 58분 임 전 비서관과 약 6분간 연락했다. 임 전 차장은 이날 오후 3시 16분에는 신 전 차관과 20초간 통화하기도 했다.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도 같은 날 오후 4시 59분 조태용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내선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2분 39초간 받았다.

이들이 이날 집중적으로 연락을 주고 받은 건 윤 대통령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윤 대통령은 박 대령이 사건기록을 경찰에 이첩한 직후인 낮 12시~1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3차례에 걸쳐 18분여간 통화했고, 이들의 통화 전후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 임 전 비서관, 유 관리관의 연락 횟수가 부쩍 늘었다. 국방부 검찰단은 이날 오후 7시 20분 경북경찰청에서 사건 기록을 회수했다.

게다가 당시 휴가 중이었던 윤 대통령이 직접 움직인 정황도 추가로 드러났다. 신 전 차관은 같은 날 오후 1시 30분 윤 대통령이 검사 시절부터 쓰던 개인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어 8분 45초간 통화했고, 오후 3시 40분에는 윤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3분 36초간 통화했다. 윤 대통령은 다시 오후 4시 21분에 직접 신 전 차관에게 전화를 걸어 10초간 통화했다. 결국 사건 이첩과 사건 기록 회수 사이 윤 대통령이 움직이자 대통령실 관계자들도 일사불한하게 움직였다고 볼 만한 정황이다.

이 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이들이 무슨 대화를 나눴는지 살펴볼 것으로 알려졌다.

박준규 기자
최동순 기자
강지수 기자

관련 이슈태그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