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지수가 어제 역대 최대인 234.64포인트(8.77%) 하락하는 공포의 '블랙 먼데이'를 기록했다. 코스닥 지수까지 11.30% 폭락하며 하루 만에 양대시장 시가총액 235조 원이 사라졌다. 아시아 증시도 지난 2일에 이어 일제히 폭락, 미국발 경기침체 우려가 계속되는 모습이다.
미국 경기불안 확산으로 전 세계 증시가 후퇴하는 상황에서 국내 주가의 하락은 피하기 힘들다. 하지만 코스피가 불과 이틀 만에 2,700대에서 2,400대까지 후퇴한 것을 국제금융 시장 흐름으로만 설명할 순 없다. 올 들어 회복세를 보이는 수출이 우리 경제를 홀로 지탱해 왔는데, 세계 무역 환경이 선진국의 경기침체에 더해 관세장벽 강화까지 겹치며 급격히 악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반영해 최근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 8개 중 5개가 올해 한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그 평균이 6월 말 2.7%에서 7월 말 2.5%로 떨어졌다. 앞서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2분기 GDP 성장률도 전 분기 대비 -0.2% 뒷걸음질했다. 내수가 좀처럼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데, 여기에 티메프발 이커머스 시장 충격은 가뜩이나 어려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더욱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
경기가 하락세로 접어들 경우 정부가 적극 재정을 펼치거나,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는 거시 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현재 여건에서는 자칫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 들썩이는 수도권 집값과 물가 그리고 한계에 도달한 가계부채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이 '빅컷'까지 거론될 만큼 금리인하를 앞두고 있어 우리 통화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결국 거시 정책보다는 수출 내수 등 실물 경제와 증시 등 사안별로 정밀하게 접근하는 대책 마련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대통령실 경제부처와 한국은행 등이 긴밀한 협조 체제를 구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미 대선 등 대외 무역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초당적 외교 노력은 물론 경제 현안에 대한 신속한 입법 대응 등 정치권 협조가 필수적이다. 몰아닥치는 다중 위기 앞에서 여야 정쟁은 사소한 문제일 뿐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