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주관 '인베스터 포럼' 개최
성숙기 접어든 가전사업...돌파구는 플랫폼·B2B·신사업
2030년에는 전체 매출의 50%, 영업이익의 75%를 플랫폼 기반 서비스사업, 기업간거래(B2B) 등 신사업에서 내겠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21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연 '인베스터 포럼'에서 이렇게 밝혔다. 지난해 7월 가전 기업을 넘어 "스마트 라이프 설루션 기업이 되겠다"는 '2030 미래비전'을 선언한 지 1년여 만에 국내외 기관투자자 및 증권사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중간 성과를 공개한 자리다.
1년 전 조 CEO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과 기업간거래(B2B) 사업, 전기차·로봇 등 신사업을 중심으로 2030년 매출 100조 원 시대를 열겠다는 이른바 '7·7·7(연평균 성장률 및 영업이익 7%, 기업가치 7배) 비전'을 발표했다. 이날 조 CEO는 포럼에서 "이미 목표는 빠르게 현실화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행사에서 공개된 LG전자의 중간 성적표(LG이노텍 제외, 상반기 경영 실적)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성장률 8%, 영업이익률 6%, 기업가치 4배 수준이다. 포트폴리오 혁신 방향과 각 분야별 사업 경과도 내놨다. 포트폴리오는 ①기존 사업 성장을 극대화하고 ②웹(web)OS와 같은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과 ③B2B 사업을 늘리고 ④신사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투자한다는 게 뼈대다.
기존 사업의 성장 극대화는 가전, TV 등 성숙기에 접어든 주력 사업의 한계를 넘으려는 시도다. LG전자의 국내 가전 매출은 가전 시장의 두 자릿수 이상 역성장에도 구독 서비스 등으로 새 수요를 만들어 느는 추세다. 2022년 본격 시작한 생활가전 구독 사업은 지난해 연 매출 1조1,341억원으로 '유니콘 사업' 반열에 올랐다. 올해 성장세는 더 가팔라 연 매출 1조8,000억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매출 1조 유니콘 사업들...'상고하저' 실적 한계 줄일 것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은 전 세계에 판매한 수억 대 LG전자 제품을 플랫폼으로 활용해 콘텐츠, 광고, 서비스 수익을 만들어 내는 모델이다. 2018년 후 웹OS 플랫폼 기반 광고·콘텐츠 사업 연평균 성장률은 64%에 이른다.
B2B는 인공지능(AI) 산업 등 시장 변곡점과 연계해 자동차 부품, 냉난방공조(HVAC), 스마트팩토리 등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냉난방공조 사업은 최근 AI 데이터센터 수요 폭증에 칠러 등 냉각 시스템 시장을 적극 공략하며 고속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LG전자는 2021년 27%였던 B2B 매출 비중을 늦어도 2030년에 45%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전장 사업은 수주 잔고 100조 원 이상을 확보했다.
조 CEO는 "에어컨 판매, TV 판촉 등 회사 수익은 상반기에, 비용은 하반기에 집중돼 있어 기업가치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분(주주, 투자자)이 있었다"며 "포트폴리오가 빠르게 변하면 상고하저의 수익 특성을 완화시킬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튜브로도 생중계된 이날 행사에는 조 CEO 외에 김창태 최고재무책임자(CFO), 이삼수 최고전략책임자(CSO) 등 경영진과 주요 사업 육성을 책임지는 담당 임원들이 함께했다.
LG전자는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 계획도 조만간 내놓는다고 알렸다. 회사 측은 행사 직후 "당사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으며 상세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2024년 4분기 중 공시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