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서
당초 한 차례 통화했다던 발언 번복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에게 국회 문을 부수고 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각에서 주장하는 '야당을 향한 경고성 계엄'이라는 취지가 무색하게, 윤 대통령이 깊숙이 개입됐음을 보여주는 셈이다.
1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곽 전 사령관은 "대통령이 비화폰(보안 처리된 전화)으로 직접 전화해 의결정족수가 아직 안 채워진 것 같으니 빨리 문을 부수고 들어가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고 했다"고 말했다. 곽 사령관은 계엄 당시 육군 특전사 병력을 국회에 투입시켰다.
곽 사령관은 "그 지시 사항을 듣고 현장 지휘관들과 공포탄을 써서 들어가야 하는지, 전기를 끊어야 하는지 등을 논의했는데 현장 지휘관이 '그건 안 된다'고 했다"며 "그 부분이 분명히 맞고 옳다고 판단해 더 이상 안으로 진입하지 말라고 중지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이동하는 사람을 보기만 하고 더 이상 작전하지 못하도록 했다고도 설명했다.
비상계엄 선포 전인 지난 1일부터 계엄에 대한 내용을 사전에 알고 있었던 사실도 공개했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곽 사령관이 사전 내용을 알고 있었지만 여단장들이 공범이 될까 봐 이야기하지 못했고 검찰에 진술하지 않았다고 한다"며 "이미 비상계엄 관련자들이 말이 맞춰져 있어 진술하지 않았고 오늘 제게 공익신고를 했다"고 밝혔다.
작전 목표 대상이 총 여섯 곳이었다고도 밝혔다. 곽 사령관은 1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국회, 선관위 세곳(중앙위 과천·관악 청사, 수원 선거연수원), 민주당사, 여론조사 꽃 등을 확보하라는 지시를 유선 비화폰으로 받았다고 한다. 다만 계엄 상황이 종료된 4일 오전 1시 이후 윤 대통령이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발포, 공포탄, 장갑차' 같은 단어는 들은 적이 없다고 했다.
앞서 곽 사령관은 계엄 당시 대통령과의 통화는 707특수임무단의 위치를 묻는 한 차례가 있었다는 취지로 증언했었다. 하지만 이날 국방위 현안질의 도중 곽 사령관은 돌연 태도를 바꿔 두 번째 통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