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고점 대비 증가 폭 5분의 1 토막
주택거래 둔화·가계대출 관리 효과
비은행 가계대출 증가, 은행 앞질러
수도권 주택 거래가 주춤하고, 가계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은행권 가계대출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1조 원대로 뚝 떨어졌다. 하지만 대출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 효과’ 탓에 비(非)은행 가계대출은 4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은행 가계대줄 1.9조 늘어... 3월 이후 최소 폭
11일 한국은행은 ‘11월 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를 내고,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잔액이 전월 대비 1조9,000억 원 증가한 1,141조4,0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증가 추세가 이어졌으나, 월간 증가액은 고점이었던 8월(9조2,000억 원)의 약 5분의 1로 축소돼 3월 이후 가장 작은 수준에 머물렀다. 가계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담대 잔액(901조8,000억 원)이 한 달간 1조5,000억 원 늘어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주담대도 마찬가지로 10월(3조6,000억 원)보다 증가세가 크게 꺾여 8월(8조2,000억 원)의 5분의 1 토막이 났다.
수도권 아파트 거래가 고점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등 주택거래가 둔화하고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조치가 이어진 영향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7월 2만7,000호에 달했지만 10월 1만5,000호까지 감소했다. 주요 시중은행은 가산금리를 올려 대출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대출 조건을 강화하고 비대면 대출 창구를 막는 등 연말까지 대출 조이기를 이어가고 있다. 박민철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당분간은 가계대출 둔화 국면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은행권 누르자 비은행권 가계대출 3.2조 '쑥'
은행권에서 가계대출을 조이면서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곡선도 완만해졌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 대출은 5조1,000억 원 증가해 전월(6조5,000억 원) 대비 증가 규모가 축소됐다. 다만 은행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한 금융 소비자들이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 등으로 발걸음을 옮기면서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은 10월 2조7,000억 원에서 11월 3조2,000억 원으로 오히려 확대됐다. 2021년 7월(+5조7,000억 원)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어 은행 증가세를 앞지른 것이다.
금융위는 이날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행정안전부, 한은,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5대 은행 등 금융사가 참석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연말까지 은행권 가계대출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최근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는 제2금융권 가계대출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은 지방 및 비아파트를 중심으로 역전세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이 커 전세보증금 반환 어려움 등 세입자의 주거 안정 저해 우려가 여전한 만큼 올해 말 일몰 예정이었던 역전세 반환대출에 대한 규제완화 조치를 내년 말까지로 1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전세보증금을 반환해야 하는 임대인은 후속 세입자에 대한 전세금 반환보증보험 가입 등 세입자 보호 조치를 취할 것을 조건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대신 총부채상환비율(DTI) 60%를 적용받게 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