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연구
저가 상품 가격 인상폭 큰 '칩플레이션'
주 소비층인 저소득층 물가 부담 키워
급격한 인플레이션 시기 불평등 심화
코로나19 팬데믹발(發) 급격한 인플레이션 속에서 같은 품목이라도 저가 상품의 가격 상승 폭이 고가 상품보다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이 서민층에게 더 가혹했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은 18일 '팬데믹 이후 칩플레이션(Cheapflation)과 인플레이션 불평등'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미국과 캐나다, 영국 등 주요국에서 발생한 '칩플레이션'은 국내도 예외가 아니라는 것이 골자다. 칩플레이션은 싸다는 뜻의 '칩'과 인플레이션을 합친 단어다. 같은 품목에서도 저렴한 제품군의 가격 인상폭이 고가 제품보다 큰 현상을 일컫는다.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소시지·햄과 같은 가공식품을 기준으로,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20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누적 가격 상승률을 조사했다. 제품 가격별로 저가(1분위)부터 고가(4분위)까지 4개 그룹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저가 제품 가격이 16.4%나 폭등하는 동안 고가 제품 가격은 5.6%밖에 오르지 않았다. 가격 인상률 격차가 무려 10%포인트가 넘는다. 물가동향팀은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보면, 팬데믹 이전에는 분위 간 격차가 미미했으나 인플레이션 급등기에 격차가 크게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상품 바코드별 판매금액·수량 등 정보를 제공하는 대한상공회의소의 스캐너 데이터를 활용해 만든 스캐너 물가지수를 바탕으로 분석됐다.
수입원자재 가격 급등+저렴한 제품 수요 증가=칩플레이션 발생
칩플레이션은 수요와 공급에서 모두 발생한다. 우선 공급 측면에서는 ①팬데믹 이후 수입 원자재 가격의 급격한 상승이 저가 제품에 더 영향을 끼친 탓이다. 저가 제품은 국산 원자재보다는 비교적 낮은 가격의 수입 원자재를 주로 사용하는데, 원자재 가격 상승은 국내 판매 가격에 대부분 전가됐다는 것이다. 수요 측면에서는 ②실질소득 감소로 더 저렴한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층이 늘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한은은 칩플레이션이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봤다. 물가동향팀은 "통화정책(긴축정책)으로 인한 물가안정이 저소득층의 어려움을 더는 데 주요했다"고 평가하면서도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 정부가 중·저가 상품의 가격 안정에 집중함으로써 취약계층의 부담을 완화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해외공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할당관세나, 가격 급등 품목에 대한 할인지원 시 중·저가 상품에 선별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선별적인 재정 정책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계엄 사태 이후 얼어붙은 소비 심리를 우려한 이 총재는 "장기적으로 재정건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내수를 진작할 수 있도록, 자영업자 등을 타깃(대상)으로 일시적으로 재정을 확대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통화정책도 거기에 맞춰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