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인구 2.7명당 1명꼴 '일하는 중'
노인일자리, 고용불안·단순노무 집중 문제
"정년 연장·재취업 교육·고용불안 해소 필요"
2025년 을사년은 한국이 초고령사회(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20% 이상)로 진입해 맞이하는 첫해이다. 지난달 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정확히 20.0%로 올라섰다.
하지만 신체·정신적으로 특별한 이상 없이 생활할 수 있는 건강수명도 2010년 70.9세, 2015년 72세, 2019년 73.1세로 꾸준히 늘어나, '노인의 나라'가 꼭 비경제활동 인구의 증가를 뜻하는 건 아니다. 실제 '일하는 노인'은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하고 있다. 이제 필요한 것은 노인 일자리의 질적 제고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노인 2.7명 중 1명은 '현역 노동자'
1일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해 1~11월 65세 이상 노인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약 49만9,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1년 전 증가폭 29만2,000명과 비교하면 약 71% 상승한 수치이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019년 253만8,000명에서 지난해엔 352만5,000명으로 급증했다. 2023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943만6,000명이었던 만큼 노인 2.7명 중 1명은 여전히 '현역'으로 노동시장에 들어가있다는 뜻이다.
고용정보원은 올해에도 일하는 노인이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기대수명 연장과 인구 전반의 고학력화, 신체적 능력 향상으로 은퇴 이후에도 자발적으로 일을 하고 싶어하는 노인이 늘어나고 있어서다. 한편으로는 경제성장 둔화와 물가인상 등 경제적 이유로 은퇴를 하고 싶어도 일터를 떠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노인 취업자 상당수가 신체를 사용하는 업종에 종사하고 있고,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는 임시직에 집중됐다는 점이다.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종사 업종을 살펴보면 농림어업직(17.4%),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15.4%)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은 노인돌봄, 요양보호사로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사회적 구조가 그대로 드러났다.
일하는 노인들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고용불안에 시달렸다. 지난해 연령별 임시직 비중을 살펴보면 60~64세 18.8%, 65~69세 23.4%, 70세 이상 41.2%로 늘어났다. 은퇴 연령 이후의 취업자 수 증가는 업무에 숙련된 인력을 유지하고 청년들이 기피하는 업종에 노동력을 충원해주는 긍정적 효과가 있다. 반면 불안한 고용상태에서 신체를 활용하는 업무에 종사할 경우 오히려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교차한다. 고용정보원은 "60세 이상 취업자 상당수가 돌봄, 요양보호사 일자리고 대부분 시간제나 단기계약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고 전했다.
"정년 연장 논의, 고용불안정 해소 필요"
올해는 노인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노동계는 정년 연장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현재 근로자 법정 정년은 60세지만 연령에 따라 연금 수급까지 최대 5년간 소득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노총은 정년 연장을 적극 요구하고 있고, 미온적 입장을 취했던 민주노총도 최근 정년 연장에 동참하는 기류로 선회하는 분위기다. 12·3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으로 논의가 중단됐지만 정국이 안정화되면 곧장 관련 대화를 재개할 방침이다.
양질의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대안도 필요하다. 고용정보원은 "고령층 고용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직업훈련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공공일자리 확대도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보다 근본적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길거리를 돌아다니며 쓰레기를 줍고 청소를 하는 공공일자리에서 벗어나 노인의 경험과 지식이 산업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임춘식 노인복지단체연합회장은 "고령자 취업 알선이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나도록 정책이 보완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