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미얀마의 한국인 신부 “아이들만이라도 데려갈 수 없나요?”
알림

미얀마의 한국인 신부 “아이들만이라도 데려갈 수 없나요?”

입력
2021.04.12 18:00
수정
2021.04.12 22:53
23면
0 0

한국인 종교인들 운영하던 보육원
문 닫으면 아이들 어떻게 될까 우려


“미얀마의 많은 선교사들이 보육원이나 보딩하우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미얀마를 떠나기도 어렵지만 실제로 떠나면 아이들은 갈 곳이 없습니다. 어린아이들이나 학생들까지 한국에 갈 수 있는 길이 있을까요? 미얀마 난민을 한국에서 받아들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미얀마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천주교 신부 A씨

미얀마 군부의 폭력이 나날이 심해지는 가운데 현지에서 활동해온 한국 종교인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세계 각국이 자국민에게 철수를 권고한 상황에서 이들이 운영하던 복지시설도 문을 닫아야 할 위기에 빠졌기 때문이다. 양곤에서 6년째 사목활동을 펼쳐온 A씨는 본보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아이들만이라도 한국으로 데려갈 수 없느냐고 물었다.

천주교 인천교구를 통해서 전달된 A씨의 편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미국 언론사 CNN의 현지 취재를 기점으로 양곤에서는 총성이 잦아들었다. 편지가 작성된 9일 기준으로 도심 시위도 소강상태다. 외신의 A씨는 “오히려 지방에서 시위와 교전이 늘어났고 한국 언론에서 보도하는 장면은 지방 소식이 대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11일(현지시간)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 거리를 행진하는 민주화 시위대를 향해서 어린이들이 연대의 의미로 세 손가락을 들어보이고 있다. 미얀마의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연합(AAPP)에 따르면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킨 이후 적어도 7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만달레이=EPA 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 거리를 행진하는 민주화 시위대를 향해서 어린이들이 연대의 의미로 세 손가락을 들어보이고 있다. 미얀마의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연합(AAPP)에 따르면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킨 이후 적어도 7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만달레이=EPA 연합뉴스

그러나 평화는 점점 멀어지고 있다. 당장 8일에는 양곤 안팎에서 폭탄 공격으로 보이는 폭발사고가 일어났다. 군부는 한 기업인이 벌인 테러라고 발표했지만 A씨는 믿기 어렵다면서 “본격적으로 내전 양상을 보이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이러한 혼란 때문에 경제활동이 거의 멈췄고 은행에서의 출금이 규제돼 한국인이 운영하는 업체들도 직원들에게 월급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빈민들을 위한 한국인 종교인들의 봉사활동도 거의 중단된 상태다. 본보가 국내 종교단체들을 통해서 확인한 결과, 군부의 발포로 사망자가 600명이 넘어가는 등 폭력사태가 심각해지면서 종교인들이 의료봉사 등을 중단했다. 군부는 자국민을 지원하는 활동까지 견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A씨는 “성당의 진료소를 지원하던 은인이 체포되기도 했다”고 말을 줄였다.

지난 8일(현지시간) 미얀마 양곤의 한 마을에 민주화를 지지하는 뜻이 담긴 신발들이 놓여 있다. 현지에서는 군부의 폭력을 피해 이러한 무인 시위가 나타났다고 한국의 미얀마인들은 설명했다. AFP 연합뉴스

지난 8일(현지시간) 미얀마 양곤의 한 마을에 민주화를 지지하는 뜻이 담긴 신발들이 놓여 있다. 현지에서는 군부의 폭력을 피해 이러한 무인 시위가 나타났다고 한국의 미얀마인들은 설명했다. AFP 연합뉴스

A씨는 “천주교 성직자들이 직접적으로 위협을 당했다는 이야기는 듣지 못했으나 위협을 느낄 만한 분위기는 계속되고 있다”면서 “성당 주변에도 낯선 이들의 움직임이 눈에 띈다”라고 설명했다.

상황이 악화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의 귀국 권고를 선뜻 따르기가 어려운 종교인과 교민들도 있다. 현지인들을 돕던 종교인들은 장기간 펼쳐온 봉사활동을 중단하기가 쉽지 않다. 또 사업체를 운영하거나 현지에서 혼인한 교민들 역시 삶의 터전을 떠나기가 힘들다. A씨는 “7일까지 전체 교민의 10% 정도가 귀국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많은 사람이 미얀마의 신년인 띤잔 축제(4월 13일) 전후로 귀국할 예정으로 알고 있으나 일부는 떠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11일(현지시간) 열린 군부 쿠데타 규탄 시위 도중 사제 총을 든 한 참가자가 독재에 대한 저항의 상징인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있다. 만달레이=EPA 연합뉴스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11일(현지시간) 열린 군부 쿠데타 규탄 시위 도중 사제 총을 든 한 참가자가 독재에 대한 저항의 상징인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있다. 만달레이=EPA 연합뉴스

일부 교민 사업체들은 5월까지 현재의 어려움이 해소되지 않으면 폐업할 위기에 놓인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일부는 4월부터 무기한 휴업을 결정했고 따라서 4월 말이나 5월에는 여러 사람이 귀국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A씨는 한국 정부가 비상상황 대처 요령이 담긴 안내서를 제작해 교민들에게 보급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현지에서는 차명 전화를 쉽게 개통할 수 있어서 한국 정부가 교민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완벽하게 파악해 연락망을 만들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교민끼리 SNS를 통해서 활발히 소통하지만 인터넷이 끊기는 시간도 늘고 있다. A씨는 "이미 대처 요령과 대피 장소가 정해진 것으로 아는데 이를 모르는 교민이 많다"라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와 국민의 지지가 미얀마 국민에게 힘이 됐다고 A씨는 설명했다. 특히 한국 불교계의 미얀마 민주화 기원 오체투지 등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알려지면서 현지인들이 매우 고마워하고 있다. A씨는 “한국 천주교가 모금활동으로 현지에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려고 애쓰고 있지만 쿠데타 이후의 상황이 정말로 좋지 않다”면서 “미얀마의 신부들은 어려운 상황에서 공동체에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고 전했다.

*띤잔 축제를 기점으로 군부의 폭력이 더 심해질 가능성이 있어서 A씨의 이름을 익명으로 보도합니다.

미얀마 만달레이 주민들이 군경의 기습 수색을 막기 위해 마을 입구에 모래주머니를 쌓아 놓았다. 뒤편으로 위성TV 접시 안테나가 보인다. 시민들이 지나가는 시위대에게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있다. 만달레이=AFP 연합뉴스

미얀마 만달레이 주민들이 군경의 기습 수색을 막기 위해 마을 입구에 모래주머니를 쌓아 놓았다. 뒤편으로 위성TV 접시 안테나가 보인다. 시민들이 지나가는 시위대에게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있다. 만달레이=AFP 연합뉴스






김민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