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1일 2,223명을 기록해 처음 2,000명을 넘어섰다.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확진자도 1,700명에 육박한다. 지난달 질병관리청이 거리 두기 강화 효과를 보지 못해 감염재생산지수가 1.2 정도를 유지할 경우 예상했던 8월 중순 2,300명대 확진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검사자 대비 확진자 비율을 뜻하는 양성률은 4, 5% 수준으로 여전히 높고 비수도권의 소규모 집단감염세도 꺾이지 않고 있다.
방역당국은 휴가철을 맞아 이동이 활발한 데다 델타 변이 등 전파력 높은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거리 두기 강화에도 불구하고 3차 대유행 때에 비해 30% 정도 늘어난 이동량이 좀체 줄지 않고 있다. 휴가지에서 단속을 피한 모임이 계속 적발되는 데다 20·30대 확진자 비중이 높은 것도 특징이다. 백신 접종의 효과로 치명률이 늘지 않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나 위중증 환자가 400명 가까이 계속 증가하는 것도 위험 신호다.
더 심각한 국면을 막기 위해 현재 3단계인 비수도권의 거리 두기를 격상해 전국 4단계 조치를 검토해볼 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력을 통한 코로나 억제에는 한계가 있다. 모임이나 이동을 최소화하는 철저한 방역 수칙 준수 없이 이 위기를 넘어서기 어렵다. 다가오는 광복절은 새로 도입된 대체휴가제에 따라 3일 연휴가 이어진다. 휴가를 위한 이동은 물론이고 서울 도심에서 계획된 집회 등 감염 위험이 있는 모임은 중지해야 마땅하다.
일부에서 거리 두기 강화에 따른 경제 타격이나 해외 사례를 들며 고위험군 관리에 중점을 둔 코로나 공존 방역을 거론하고 있다. 당장 백신 접종 완료율이 우리의 4배인 나라들이 도입하는 조치를 따르기에는 감수할 위험이 크다. 그런 나라들마저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다시 규제를 강화하는 현실도 직시해야 한다. 하지만 결국 변이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백신 접종이 충분해도 집단면역이 쉽지 않다면 방역 태세 전환은 불가피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