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내년 2월 4일 개막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백악관 대변인은 6일 브리핑에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이유로 "중국의 지속적인 소수민족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기타 인권 유린"을 들었다. 신장 지역 인권 탄압과 홍콩 민주세력 억압을 염두에 둔 조치다. 다만 미국 선수에게 불이익을 주는 선수단 파견까지 막는 것은 옳지 않다며 "그들을 100% 응원할 것"이라고 해 전면 보이콧에는 선을 그었다.
바이든 정부 출범 후 계속된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 움직임에 중국은 지속적으로 반발해왔다. 이날 발표를 전후해서도 중국은 "정치적 조작이자 올림픽 정신 왜곡"이라거나 "반드시 반격하는 결연한 조치를 하겠다"고 강경 대응했다. 그러나 이번 외교적 보이콧은 미국만이 아니라 유럽 등 각국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 유럽의회와 영국 하원이 이미 중국의 초청 거부 결의안을 채택했고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은 총리나 장관 불참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국제 스포츠 행사에 정치 판단을 끌어들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반대로 스포츠가 인권 문제와 무관해야 한다고 단언할 수도 없다. 최근 중국의 여자 테니스 선수 성폭력 논란에 진실 규명을 요구하며 세계여자테니스협회가 중국 대회 중단을 선언한 것은 잘못된 결정이라고 보기 어렵다. 미중 갈등에 다시 기름을 붓는 격이 될까 우려되지만 미소 냉전 중이던 1980년대 올림픽 전면 보이콧 공방이 재연되지 않은 것만도 다행이다.
문제는 미국이 각국 판단에 맡긴다면서 내심 보이콧을 동맹국과 함께하려는 분위기다. 집단 보이콧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은 문재인 대통령 공식 초청 등에 더 적극 나설 수도 있다. 미국의 정부 대표단 불참으로 베이징올림픽을 종전선언 등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새로운 돌파구로 삼으려던 우리 정부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참석 여부나 수위는 향후 각국의 판단을 주시하고 대중 관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