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지난 2년여 동안 많은 사람들이 국경을 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깨닫고 있다. 특히, 난민들에게 국경을 넘는 일은 삶과 죽음의 문제다. 난민들은 전쟁과 분쟁, 폭력과 인권 유린, 박해를 피해 고국과 집을 떠나 국경을 넘어야 한다.
2021년 11월 기준으로, 유엔난민기구(UNHCR)는 전 세계 난민, 난민 신청자, 국내 실향민 등 강제 실향민이 8,400만 명 이상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10년간 두 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2020년 강제 실향민을 가장 많이 받은 국가 5곳은 터키, 콜롬비아, 파키스탄, 우간다, 독일이다. 놀랍게도 개발 도상국이 전체 강제 실향민의 86%를 받아들였으며, 이 중 한국으로 오는 사람들의 숫자는 주요 난민 보호국에 비하면 적은 편이다.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 5년간 한국의 난민 신청자는 총 5만592명으로 지난해에만 2,341명이 난민 지위를 신청했다.
난민은 종종 숫자로 대변된다. 그래서 우리는 그 숫자 뒤에 있는 사람들을 잊고 만다. 지난해 유엔난민기구 한국 대표부는 한국에 사는 난민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기록'을 제작했다. 유엔난민기구는 사람들이 난민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2017년부터 난민들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6편을 만들었다. '기록'은 난민 4명에게 카메라를 대 한국에 살면서 품게 된 꿈과 희망, 어려움을 풀어냈다.
코로나19로 힘든 상황에서도 한국 정부와 민간 후원자들은 난민을 지원하는 데 힘쓰고 있다. 지난해 유엔난민기구에 조성된 한국 정부 공여금과 민간 기부금은 총 7,600만 달러로 2020년에 이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 여론조사를 인용해 지난해 11월 보도한 기사에 따르면, 국민 79%는 정부가 미얀마 및 아프간 난민을 제한적으로라도 받아들이는 데 찬성했다. 또한, 한국 국민들은 정부가 시행한 미얀마와 아프가니스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특별 체류 정책에도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고 있다.
난민법 제정 10주년을 맞이하는 2022년은 뜻깊은 해다. 2012년 2월 10일 난민법이 제정되면서 한국은 1951년 유엔에서 채택된 '난민 지위에 관한 협약'의 국내 이행법을 만든 첫 아시아 국가가 됐다. 앞으로 유엔난민기구는 한국 시민들이 난민의 상황을 잘 이해하고, 난민 보호국과 국제 사회의 난민 보호책임 공유를 골자로 하는 '난민 글로벌 콤팩트'가 한국에서 잘 이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숫자 너머에 희망과 꿈을 품은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