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 동거인 중 백신 미접종자에게 적용해온 7일 격리 의무가 3월부터 외출 자제 권고로 바뀐다. 확진자 확인 후 동거인에 대해 일주일 내 두 차례 의무로 했던 검사도 권고가 된다. 동거인이 격리되지 않으면 지역 사회 전파가 늘어날 것을 알면서도 하루 17만 명 정도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에서 역학조사 등 업무가 부담돼 이처럼 확진자 대응 중심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다는 게 방역 당국 설명이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 이후 가족 중 한 사람 감염 뒤 온가족이 차례로 확진되는 사례가 줄을 잇고 있다.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30~40%에 이르러 폭증하는 확진자 숫자의 상당수를 차지한다. 백신접종률이 높다지만 미접종자는 2차 완료로 따져 수백 만 명, 3차 기준으로 2,000만 명에 이른다. 미접종자가 상대적으로 전파력이 높다는 지적도 있는 마당에 굳이 감염 가능성 있는 동거인에 대한 격리 의무 해제를 공식화해 확진자 증가를 부추길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오미크론 급증 이후 성급하고 부실한 대응은 한둘이 아니다. 방역 당국은 최근 재택치료 중 상태가 위중해져 병원으로 이송하다 숨지는 10대 미만 확진자가 여럿 나오자 뒤늦게 소아·영유아 대면 치료 확대 방침을 내놨다. 신규 확진자 중 소아·청소년 비중이 30% 가까이로 급증하는데 대비가 촘촘하지 못했다. 새학기 전면 등교 방침을 밝혔던 교육 당국은 그러고 며칠 지나지 않아 등교 지침을 사실상 학교에 맡겼다. 학교라고 뾰족한 수가 없으니 결국 학부모 선호 조사로 등교 방식을 정한다. 방역 대응이라기 민망하다.
하루 확진자 정점이 이달 말 13만~17만 명이라던 정부 예측이 3월 중순 25만 명으로 바뀌었다. 정점 시기와 규모가 또 얼마나 늦어지고 늘어날지 모를 일이다. 이런 부정확한 예측이 부실한 대비를 부른다. 예전에 비해 위중증, 사망자 비율이 낮다고 하지만 확진자 증가에 따라 숫자가 계속 늘고 있어 걱정스럽다. 방역 대응 혼란이 방역 불신을 부르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