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유엔 안보리, 러시아 규탄 결의안 무산
알림

유엔 안보리, 러시아 규탄 결의안 무산

입력
2022.02.26 09:34
수정
2022.02.26 10:55
0 0

상임이사국 러시아, 거부권 행사
중국ㆍ인도ㆍ아랍에미리트 기권

25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러시아 규탄 결의안이 논의되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25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러시아 규탄 결의안이 논의되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관련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러시아 규탄 결의인 채택이 무산됐다. 당사국이자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거부권을 던졌고 중국과 인도, 아랍에미리트(UAE)가 기권한 탓이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긴급회의에 상정된 결의안에 대해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해 결의안을 채택하지 못했다. 미국이 주도한 대 러시아 규탄 결의안은 러시아에 대한 규탄과 함께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군의 즉각적이고,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철군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지만 무산된 것이다. 안보리 이사국 15개국 중 11개국은 찬성표를 던졌지만, 러시아는 반대했고 러시아의 우방인 중국을 비롯해 인도와 아랍에미리트 등 3개국은 기권했다. 다만 러시아가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이기 때문에 결의안 채택 가능성은 사실상 처음부터 없던 상태다.

이날 러시아의 비토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결의안 채택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외신은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조만간 러시아 규탄 결의안을 유엔 총회에 제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엔 총회 결의안은 안보리와 달리 법적인 구속력이 없지만, 표결 과정에서 거부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표 대결을 벌일 경우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국가들이 유리하다는 지적이다. 앞서 지난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할 당시에도 국제사회는 유엔 총회를 통해 러시아를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다.

다만 아쉬움은 역력하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는 표결 후 "러시아는 결의안을 비토할 수 있지만, 국제사회의 여론과 원칙·진실을 비토할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바버라 우드워드 주유엔 영국대사 역시 "러시아는 국제사회에서 고립됐다.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가 없다"고 꼬집었다.

김진욱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