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잿더미 된 집터에 '생연탄'만 뒹굴어... 구룡마을은 지금

입력
2023.02.01 12:30
0 0

화재발생 이후 2주 동안 인근 호텔에서 거주한 이재민들
2일 이후 갈 곳 없어 막막… 마을 곳곳엔 시커먼 연탄만

설 연휴 전날 발생한 화재로 잿더미가 돼버린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는 화재 발생 12일째인 지난달 31일까지도 사용하지 못한 연탄과 소화기만 나뒹굴고 있다. 서재훈 기자

설 연휴 전날 발생한 화재로 잿더미가 돼버린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는 화재 발생 12일째인 지난달 31일까지도 사용하지 못한 연탄과 소화기만 나뒹굴고 있다. 서재훈 기자


설 연휴 전날 발생한 화재로 잿더미가 돼버린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는 화재 발생 12일째인 지난달 31일까지도 사용하지 못한 연탄과 소화기만 나뒹굴고 있다. 서재훈 기자

설 연휴 전날 발생한 화재로 잿더미가 돼버린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는 화재 발생 12일째인 지난달 31일까지도 사용하지 못한 연탄과 소화기만 나뒹굴고 있다. 서재훈 기자


31일 화재로 인해 잿더미로 변해버린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 곳곳에 사용해보지도 못한 연탄들만이 가득 쌓여 있다. 서재훈 기자

31일 화재로 인해 잿더미로 변해버린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 곳곳에 사용해보지도 못한 연탄들만이 가득 쌓여 있다. 서재훈 기자

설 연휴를 하루 앞둔 지난달 20일 새벽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 구룡마을에서 큰불이 났습니다. 전기 합선으로 시작된 불은 순식간에 43가구를 집어삼켰고 주민 60여 명이 삶의 터전을 잃고 말았습니다.

그로부터 11일이 지난 31일 구룡마을은 아직 '폐허' 그 자체로 방치돼 있었습니다. 마을 입구에서 만난 주민 장원식(70대)씨가 온전한 집기 하나 남지 않은 집터를 바라보며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구룡마을에서 35년째 살고 있다는 장씨와 함께 집터를 살펴보니, 겨울을 나기 위해 창고에 고이 보관해 두었던 연탄 수십 장이 잿더미 속에서 나뒹구는 게 전부였습니다. 그마저도 화재 진화를 위해 뿌린 물에 젖어 한 개도 건질 수 없었습니다. 장씨 집뿐 아니라 옆집도, 그 옆집도 비슷한 상황이었습니다.

화재 발생 11일 만인 31일 폐허로 변해버린 구룡마을에서 관계자가 전신주를 살펴보고 있다. 서재훈 기자

화재 발생 11일 만인 31일 폐허로 변해버린 구룡마을에서 관계자가 전신주를 살펴보고 있다. 서재훈 기자


화재 발생 11일 만인 31일 화마로 인해 잿더미로 변해버린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 집터 사이로 한 할머니가 화재현장을 바라보고 있다. 서재훈 기자

화재 발생 11일 만인 31일 화마로 인해 잿더미로 변해버린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 집터 사이로 한 할머니가 화재현장을 바라보고 있다. 서재훈 기자

장씨는 이 상황이 막막하기만 합니다. 구청에서 제공한 숙소에서 임시로 지내고 있지만 화재 후 2주가 되는 2일이면 퇴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장씨처럼 당장 갈 곳도, 먹을 음식도, 입을 옷도 해결이 안 되는 이재민이 60여 명, 다들 한숨만 늘고 있습니다.

구룡마을은 1980년대 오갈 곳 없는 철거민들이 모여 살기 시작하면서 형성된 집단 촌락입니다. 주택 대다수가 합판이나 샌드위치 패널 등 가연성 소재로 만든 데다, 집과 집 사이 공간도 성인 한 사람 겨우 지날 수 있을 정도로 촘촘한 탓에 화재가 끊이지 않고, 한 번 불이 나면 피해 규모가 엄청납니다. 하지만 무허가 건축물이다 보니, 화재로 당한 피해를 하소연할 곳도 없고, 지자체 등에 정비 책임을 묻기도 어려운 실정입니다.

멀쩡한 마을(왼쪽)과 화재로 인해 시커먼 재로 변해버린 마을이 극명하게 비교된다. 서재훈 기자

멀쩡한 마을(왼쪽)과 화재로 인해 시커먼 재로 변해버린 마을이 극명하게 비교된다. 서재훈 기자


화마로 인해 잿더미로 변한 전신주 사이로 마을 주민들이 지나고 있다. 서재훈 기자

화마로 인해 잿더미로 변한 전신주 사이로 마을 주민들이 지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장씨는 "현장에는 대책위원장, 부위원장, 총무가 항상 있는데 시청이나 구청에서 와 본다고 해도 일대일로만 살짝 만나거나 새벽에나 슬쩍 왔다가 그냥 가버리는 상황"이라고 푸념했습니다. 주민들이 처한 상황을 세세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답답함이 커 보였습니다. 그는 또, "SH공사 직원들은 와서 임대 이야기만 하는데, 사실 여기 있는 사람들 전부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이라 한 달에 임대료 30만 원, 40만 원씩 낼 형편이 안된다. 설령 얼마간 낸다고 해도 오래 살 수도 없는 일이고, 임대료를 못 내면 쫓겨나야 하는데..."라며 또 한숨을 지었습니다.

주민대책위는 화재 현장에 컨테이너로 임시 거처를 마련해 달라고 지자체에 요구했지만 아직 답변은 없습니다. 장씨는 "컨테이너 박스라도 해주면 추워도 여기서 살겠는데, 어떻게 될는지 모르겠다"며 집터만 바라봤습니다.

화재 발생 11일 만인 31일 폐허로 변해버린 구룡마을에서 마을주민인 장원식씨(70대)가 잿더미로 변한 자신의 집터를 바라보며 고개를 떨구고 있다. 서재훈 기자

화재 발생 11일 만인 31일 폐허로 변해버린 구룡마을에서 마을주민인 장원식씨(70대)가 잿더미로 변한 자신의 집터를 바라보며 고개를 떨구고 있다. 서재훈 기자


화마로 인해 잿더미로 변한 전신주 사이로 한 마을 주민이 통화를 하며 지나고 있다. 서재훈 기자

화마로 인해 잿더미로 변한 전신주 사이로 한 마을 주민이 통화를 하며 지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서재훈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