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낮은 임금 효과는 옛말
중국 반사이익 불확실해 걱정"
추경호 "무역수지 개선에 도움"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를 바라보는 '경제 투톱'의 시각이 엇갈렸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중국 수출의 혜택이 예전만 할지' 반신반의하는 입장을 내비친 당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무역수지가 개선될 것"이란 희망가를 불렀다.
1일 이 총재는 한은과 대한상공회의소의 첫 공동 세미나에서 신현송 국제결제은행(BIS) 경제보좌관 겸 조사국장과의 대담을 진행했다. 질문자로 나섰지만 질문 속에 한은 총재로서의 고민이 묻어났다.
중국 언급이 나온 것은 미·중 갈등으로 고민하는 수출 중소기업의 사연을 소개하면서다. 이 총재는 "중국의 '제로(0) 코비드' 정책 변화로 국제통화기금(IMF)도 전날 중국 성장률을 4.4%에서 5.2%로 크게 올렸다"며 "한국 경제가 과거만큼 중국 경제회복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물었다.
그러면서 중국의 반등이 지난해 낮은 성장률에 대한 반작용, 즉 "기술적 반등"인 것 같다며 "우리가 얼마나 많은 회복 효과를 누릴 수 있을지 불확실해 걱정"이라고 말했다. 중국 여행객 증가가 우리나라 경상수지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 것을 제외하곤 과거만큼 중국 리오프닝의 효과를 기대하긴 힘들다는 게 이 총재의 전반적 인식이다.
이 총재는 또한 "중국 의존도가 구조적으로 변화할 수밖에 없다"는 한은 전망을 소개했다. 비단 미·중 갈등뿐만 아니라 중국 내 산업구조 변화 때문에 지난 20년간 얻었던 '특혜'를 더 이상 누리기 어렵다는 진단이다.
그 이유로 "과거 한국이 중국의 낮은 임금을 기초로 혜택을 누렸다면 현재는 중국 임금이 상승했고, (중간재 자국화를 꾀할 정도로) 중국 기업의 경쟁력도 올라섰다"고 설명했다. 중간재 수출·입은 한중 무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해 왔다.
비슷한 시각 추 부총리는 중국 리오프닝이 무역수지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긍정 전망을 내놨다. 이날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무역수지는 126억9,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11개월 연속 적자에 역대 처음 세 자릿수 무역적자폭을 기록했다.
추 부총리는 적자폭 확대 원인으로 △동절기 에너지 수입 증가 등 계절적 요인 △반도체 수출단가 하락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경제활동 차질을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1월을 지나면서 계절적 요인이 축소되고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