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히로시마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중국과 러시아 견제를 위한 서방의 '역사적 단결'을 과시하고 21일 마무리됐다. 정상들은 미국 주도로 우크라이나 지원 의지를 확인하고, 중국의 현상변경 시도를 강하게 경고하는 성명서를 채택했다. G7 정상들은 특히 안보, 경제, 인권 전방위에서 중국을 압박했다.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이 국제사회 안보에 필수 불가결하다”고 못 박고 무력·강압에 의한 현상변경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중국 외교부는 "G7이 중국 내정을 난폭하게 간섭한 것에 결연히 반대한다"고 거세게 반발했다. 대중 압박에 유럽이 포함된 G7의 가세는 미중 갈등이 더욱 첨예해질 것임을 예고한다.
참관국 자격으로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은 “세계 자유를 지키고 평화를 확보하는 유일한 길은 국제규범을 준수하고 법치에 따라 행동할 때만 가능하다”고 법의 지배를 연설했다. 6개월여 만에 다시 만난 한미일 정상은 북핵·미사일 대응의 협력의지를 거듭 확인했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일 두 정상을 워싱턴으로 초청해 3국 협력 추구를 선명히 했다.
윤 대통령의 숨 가빴던 외교무대는 G7에 버금가는 한국의 달라진 위상을 확인한 계기였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윤 대통령에게 인도적·비살상(장비) 지원에 감사를 표시했다. 그러나 G7 정상들이 중국 견제에 동의하면서 성명서에 "우리는 국익을 위해 행동한다"고 명시한 것은 윤 대통령도 지켜봤을 것이다.
미국만 해도 이번 G7 종료 직후 중국과 잇단 장관급 회담을 열기로 해 패권경쟁의 한편에서 실리 관리를 하고 있다. 한미일 협력 강화 등이 우리로선 안보상 불가피한 선택이라 해도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국제사회 풍경들이다. 결국 미국이 제시한 진영구도와 비전을 지지하되, 한중·한러 관계의 치밀한 관리는 더욱 절실해졌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중 갈등에서 한국을 독일 프랑스와 함께 지정학적 '스윙 스테이트’로 분류했는데 유연하고 역동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