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끝나자마자 폭염이 이어지며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6~28일 온열질환자는 178명이나 됐다. 29일 경북에선 더운 날씨 속 밭일하던 노인이 4명이나 숨졌다. 30일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데다 당분간 무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보된 만큼 온열질환자 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선제적으로 한덕수 국무총리가 “독거노인 노숙인 쪽방주민 등 폭염 취약계층의 보호 및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라”고 긴급 지시한 건 적절했다. 산업 생산 및 토목 건설 현장과 농축산어업 야외 근로자도 폭염 속에 일하다 쓰러지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온열질환의 80% 이상이 실외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에 유념하고, 작업시간 조정 등의 예방수칙들을 예외 없이 시행해야 한다. 전기요금 체납가구나 요금 인상으로 냉방비 부담이 커진 저소득층이 금전적 이유로 더위를 피하지 못해 생명을 위협받는 일도 없길 바란다.
그러나 이런 임시방편으로 펄펄 끓기 시작한 지구와 기후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는 건 한계가 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7일 “지구 온난화가 끝나고 지구 열대화(Global boiling) 시대가 시작됐다”고 선언했다. 세계기상기구도 올해 7월을 ‘역사상 가장 더운 달’로 분석했다. 이미 지난달도 관측 이래 가장 더운 6월이었다. 피해는 막심하다. 매년 미국에선 600명 이상이 이상고온으로 숨지고 있다.
앞으로 전 세계가 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폭염은 더 심해지며 일상화할 공산이 크다. 그리고 그 피해는 유독 사회적 약자에게 집중될 수 있다. 폭염 대책은 이제 여름 한철 반짝 시행하고 말 게 아니라 기후변화를 염두에 둔 장기적인 안목에서 전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사안이 됐다. 우리의 행동이 즉각 변하지 않는다면 재앙을 피할 길은 없다. “끔찍하고 잔인한 여름은 분명 인간에게 책임이 있다”는 구테흐스 사무총장의 경고에 귀 기울일 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