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채권시장팀 보고서
"중·단기금리는 동조화 약화
단기금리 따르는 변동금리 비중↑"
미국 장기 국채금리가 16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가계·기업대출 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한국은행 전망이 나왔다.
11일 한은 금융시장국 채권시장팀은 '한·미 금리 동조화 현황 및 평가' 보고서를 내고 "최근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이 우려할 만큼 크지는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대표 장기국채인 10년물 금리는 지난달 21일 2007년 11월 이후 최고인 4.34%를 기록했다. 미국 긴축 기조가 장기화할 것이라는 예상, 신용평가사 피치의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영향도 있었지만, 미 재무부가 3분기 장기채 발행 규모를 늘리겠다고 발표한 것이 장기채 금리 급등으로 직결됐다는 해석이 많았다.1
이에 한국의 대출 금리도 상승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각국 실물·금융경제의 상관관계가 높은 데다 세계 경제의 미 달러화 의존도가 높은 탓에, 한국 등 주요국 시장금리는 미국을 따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은 시장금리를 기준으로 삼아 대출 금리를 정한다.
한은은 그러나 "우리 가계·기업대출 금리는 1년 이하 단기금리에 연동되는 변동금리 비중이 높고2 회사·은행채 발행 만기도 3년물 이하로 짧다. 그런데 최근 중·단기금리는 미국 금리와 동조화 정도가 강하지 않다"며 미국 장기채 금리 상승의 여파가 우려에 비해 덜할 것으로 평가했다.
한미 중·단기금리가 엇갈리는 것은 양국 물가·성장에 대한 전망이 다르기 때문이다. 투자은행(IB)들은 내년 한국 성장률은 올해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지만, 미국은 반대로 대폭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 한은은 1월부터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있지만,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7월까지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등 단기 통화정책도 차이가 있다.
다만 "기간프리미엄3이 붙는 장기금리의 경우 한미 금리 동조화가 높은 편"이라며 "장기 시장금리를 준거금리로 채택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혼합형(5년 고정→변동금리)과 정책모기지(특례보금자리론)는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지를 뒀다. 한은 관계자는 "정책모기지가 최근 주담대 증가세를 견인했다는 점에서, 정책모기지 금리 상승은 주담대 증가세에 제동을 거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 1 미 재무부가 3분기 장기채 발행 규모를 늘리겠다고 발표한 것이 장기채 금리 급등으로 직결됐다는 해석이 많았다.
- 채권은 만기에 받기로 한 '원금(채권가격)+이자(수익률)'가 고정돼 있기 때문에 채권가격과 수익률은 반대로 움직인다. 예컨대 채권 발행이 늘어나 채권 가치(가격)가 떨어지면 수익률은 올라가고, 채권 발행량이 줄어 채권 가치가 올라가면 수익률은 하락한다. 미국 국가등급 강등은 미국이 발행하는 국채의 가치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수익률은 오르게 된다.
- 2 1년 이하 단기금리에 연동되는 변동금리 비중이 높고
- 7월 말 기준 잔액 기준 가계대출 변동금리는 71.4%, 기업대출 변동금리는 64.2%로 고정금리에 비해 비중이 상당히 크다.
- 3 기간프리미엄
- 장기 채권 보유자에게 만기까지의 불확실성의 대가로 수익률을 추가로 지불하는 것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