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3·1절 기념 홍보물에 잘못된 역사를 게재했다 슬그머니 삭제했다. 행안부는 지난달 29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공식 계정에 3·1운동을 ‘1919년 3월 1일, 만주 하얼빈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선언과 동시에/ 만주, 한국, 일본 등에서 일어난 대규모 항일 독립운동’이라고 설명했다. 배경화면으론 뜬금없이 훈민정음 서문 이미지를 썼다. 사실과 다르고 엉뚱하다는 지적이 커지자 행안부는 게시물을 내린 뒤 “앞으로 이런 실수가 없도록 주의하겠다”고 밝혔다.
3·1운동이 1919년 3월 1일 서울 종로에서 민족대표 33인이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하며 시작됐다는 건 상식이다. 만주 하얼빈에서 임시정부의 독립선언으로 시작됐다는 주장은 듣도 보도 못한 내용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3·1운동의 산물이라는 건 헌법 전문에도 나와 있다. 마치 3·1운동 이전 수립된 것처럼 서술한 것도 명백한 오류다. 1919년 2월 만주에서 대한독립선언서가 발표된 적은 있지만 당시 임시정부는 없었고, 장소도 하얼빈이 아닌 지린이었다. 독립운동사를 뒤죽박죽 왜곡한 셈이다.
3·1절 기념식을 주관하는 부처로서 누구보다 3·1운동의 역사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할 행안부가 공식 계정에 잘못된 사실을 실은 건 유감이 아닐 수 없다. 석고대죄해야 할 판에 책임을 회피하는 건 더 황당하다. SNS 관리 업체 실수라고 하더라도 이런 기초 사실조차 점검하지 못한 건 행안부의 직무유기이다. 문제의 게시물이 나가게 된 경위를 소상히 조사해 국민에게 정식으로 사과하는 게 순서다.
유독 윤석열 정부 들어 역사 인식을 둘러싼 논란과 '사고'가 반복되는 것도 우려된다. 지난해 육군사관학교 충무관 앞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추진으로 국민적 피로를 키운 데 이어 연말엔 국방부가 장병 정신전력교육 교재에 독도를 영토 분쟁 지역으로 서술했다 회수한 적도 있다. ‘실수’도 반복되면 고의를 의심받기 마련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밝힌 대로, 누구도 역사를 독점할 순 없으며 그러기 위해선 올바르게 전해져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