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미국 대선이 조 바이든 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 4년 만의 리턴매치(재대결)로 6일(현지시간) 확정됐다. 이날 트럼프는 공화당 후보 경선에서 유일하게 경쟁을 벌여온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가 경선 중단을 선언함으로써 공화당 대선후보로 추인됐다. 바이든 역시 지난 5일 16개 지역 민주당 경선에서 압승해 차기 후보로 굳어진 상태다. 하지만 두 사람의 재대결은 누가 되든 지금 국제사회가 직면한 ‘미국 문제’를 지속·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우리에게도 큰 과제를 던지고 있다.
두 사람의 재대결을 보는 미국 내 반응부터 싸늘하다. 뉴욕타임스(NYT)는 “많은 미국인들이 피하고 싶었던 바이든과 트럼프의 2024년 속편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는 평가로 미국민의 탐탁잖은 분위기를 전했다. 바이든에 대해서는 우선 고령 리스크에 아랍계·젊은층 유권자들의 반대정서, 경제성적과 지지율의 괴리 등이 문제로 꼽힌다. 트럼프는 사법리스크 지속과 그에 따른 자금난, 당내 분열, 낙태권 문제 등이 선거 위험요소로 꼽힌다.
하지만 이런 선거 약점보다 국제사회가 주목하는 건 바이든과 이전 트럼프 집권기 8년 동안 지속돼온 미국 문제의 지속 가능성이다. 우선 트럼프 정부 이래 미국은 인류 보편 가치를 수호해온 글로벌 리더국 전통 대신 자국 이기주의로 퇴행했다. ‘아메리카 퍼스트’ 깃발을 든 건 트럼프 전 정부였지만, 바이든 정부 역시 자국 중심의 글로벌 무역·투자정책, 공급망 재편 정책을 통해 ‘미국 우선주의’ 기조를 유지했다.
두 사람 중 누가 차기 대통령이 되든 미국 우선주의는 지속될 공산이 크고, 특히 트럼프 집권 땐 더 극단화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의 집단안보체제 경시나, 거친 보호무역주의 성향, 원칙 없는 대북 유화정책 등 리스크가 증폭되면 우리의 경제·안보·대북정책 기조 역시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아직 8개월 남은 미국 대선의 향배가 어느 쪽으로 기울지 예단하긴 어렵다. 하지만 우리로서는 지금부터 불확실성에 상응한 다양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