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4분위 적자 가구 비율 '18.2%'
근로소득 감소에 1년 전 대비 2.2%P↑
올해 1분기 중산층 다섯 가구 중 한 가구는 수입에 비해 지출이 더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비해 고물가·고금리로 나가는 돈이 많아졌지만, 정작 근로소득은 뒷걸음질하면서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26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 비율은 전년 대비 0.1%포인트 늘어난 26.8%다. 적자 가구는 총소득에서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 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 지출이 큰 가구를 뜻한다.
특히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소득 분위에서 상대적으로 적자 가구 비율이 증가했다. 소득 기준 상위 20~40%에 해당하는 4분위 가구 적자 비율은 1년 전(16%)에 비해 2.2%포인트 뛴 18.2%였다. 직전 분기(14.8%)에 비하면 3.4%포인트나 늘었다.
소위 상류층으로 꼽히는 상위 20% 5분위 가구도 1년 만에 적자 가구 비율이 8.8%에서 9.4%로 0.6%포인트 커진 반면, 하위 20% 1분위 가구는 62.3%에서 60.3%로 2%포인트 줄었다. 3분위 가구는 1.1%포인트 감소한 17.1%, 2분위 가구 0.9%포인트 증가한 28.9%로 엇갈렸다.
통계청은 중산층에 근로자 비중이 높은 만큼 근로소득이 줄어든 영향을 더 받아 적자폭 확대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체 가계소득의 65%에 달하는 근로소득은 1분기 전년 대비 가구당 월평균 1.1% 감소한 329만1,000원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실적 부진에 상여금 등이 줄어든 탓이다.
더욱이 고공행진하는 물가, 떨어지지 않는 금리에 써야 할 돈은 많아졌다.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2.5% 증가한 398만4,000원이었다. 식료품·비주류음료(7.2%), 이자비용(11.2%) 등이 크게 뛰면서 지출 확대를 견인했다.
이에 가구당 월평균 가계소득 자체는 1년 전에 비해 1.4% 증가했지만, 3%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은 오히려 1.6% 감소했다. 2017년 1분기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물가만큼 소득이 늘지 않아 가구 실질소득이 '마이너스(-)'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