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인플레 둔화 왜 체감 못하나?... "생활비 자체가 OECD 대비 높아"
알림

인플레 둔화 왜 체감 못하나?... "생활비 자체가 OECD 대비 높아"

입력
2024.06.18 14:00
수정
2024.06.18 16:45
2면
0 0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연구
"작년 의식주 가격 수준 OECD 1.5배
식료품·의류 가격 평균 수준 낮추면
가계 소비여력 평균 7% 정도 확대"

5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5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한국의 의식주 물가 수준1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대비 1.5배 이상 높다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특히 농산물은 구조적으로 가격이 높게 책정될 수밖에 없어 통화·재정정책이 아닌, 물가를 끌어올리는 구조적 요인들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8일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과 이윤수 서강대 교수는 '우리나라 물가 수준의 특징 및 시사점:주요국 비교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OECD 국가들의 평균 물가 수준을 100으로 지수화해 비교한 결과, 지난해 한국 의식주 물가지수는 155로 OECD 평균보다 5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속 성장으로 소득 수준이 빠르게 늘면서 2021년 한국의 물가 수준은 세계 195개국 중 27위에 올라섰다. 다만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3만~5만 달러로 한국과 비슷한 수준인 OECD 국가들과 비교하면, 물가 수준은 중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OECD 대비 의식주 55% 높고, 공공요금 27% 낮아"

OECD 평균 대비 한국 물가 수준. 그래픽=신동준 기자

OECD 평균 대비 한국 물가 수준. 그래픽=신동준 기자

그럼에도 국민들이 물가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것은 체감도 높은 의식주 비용이 OECD 대비 높기 때문이다. 의식주를 세부 항목으로 나눠보면, 의류·신발 가격 지수는 161, 식료품 156, 주거비2 123으로 모두 평균을 웃돌았다. 식료품 내에서는 농축산물 가격이 특히 높았는데, 돼지고기, 쇠고기, 감자 가격 지수가 OECD 평균의 2배 수준이었고, 사과는 3배에 가까웠다.

반면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대중교통, 우편) 가격 지수는 73으로 상대적으로 낮았고, 이 같은 품목별 가격 수준의 격차는 과거 대비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33년 전인 1990년 국내 의류·신발 가격 지수는 94, 공공요금은 90으로 편차가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식료품·의류가격은 주요국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수준이 높지만, 전기·도시가스요금은 더디게 올라 수준이 낮다"고 부연했다.

특히 농산물 가격이 높은 원인에 대해 연구팀은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농경지 부족, 영농 규모의 영세성으로 생산성이 낮아 생산단가가 높을 수밖에 없고, 수입을 통한 과일 공급도 주요국 대비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2021년 과일 수입비중은 한국은 40% 미만인 데 비해 미국은 80%에 육박했고, 유로지역은 약 50%였다. 한국은 도·소매업체의 시장지배력이 큰 탓에 유통비용도 높다. 소비자가격 대비 유통비용은 1999년 39%에서 2022년 50% 수준으로 상승했다.

의류에 대해서는 "국내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 백화점 같은 고비용 유통채널 비중이 높고, 그러다 보니 일부 해외 의류 업체가 국내 판매 가격을 높게 책정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반면 공공요금이 낮은 것은 "정부 정책의 영향"이라고 밝혔다.

한은 "단기 재정정책 아닌, 구조적 해법으로 풀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구조적 문제는 구조적인 해법으로 풀어야 한다는 결론이다. 연구팀은 "농산물은 생산성 제고, 비 축 역량 확충, 수입선 확보, 소비품종 다양화3로 공급·수요 모두 탄력성을 높여야 한다"며 "유통구조도 고비용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식료품·의류가격이 OECD 평균 수준으로 낮아진다면 가계 소비여력은 평균 7% 정도 늘어날 것으로 추산되며, 해당 품목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의 소비여력은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농가 보조금 지급 등의 단기 재정정책은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근본 해법이 아닐뿐더러 "고령화로 재정여력은 줄어드는 반면, 앞으로 기후위기로 인해 생활비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측면에서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공공요금의 단계적 정상화도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에너지 공기업을 적자 상태로 놔두면 투자가 안 돼 서비스의 질이 낮아지고 에너지를 과다소비할 수도 있다"며 "적자를 미래세대가 갚아야 하는 세대 간 불평등 문제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1 물가 수준
여기서 물가 수준이란 통계청이 매달 발표하는 물가상승률과 다른 개념이다. 예컨대 음식값이 9,000원에서 1만 원으로 올랐다고 하면, 물가상승률은 11%(1,000원)다. 물가 수준은 '음식값 1만 원' 그 자체가 소득 수준 대비 높은 편인 지를 뜻한다.
2 주거비
침실 1개 아파트를 제외한 아파트, 단독주택 모두 OECD 평균보다 주거비 가격 지수가 1.3~1.5배 정도 높았다. 세계 30개 주요 도시 중 서울의 소득대비 집값 수준(PIR)은 7위였다.
3 소비품종 다양화
한국에서 생산되는 사과 품종은 60% 이상이 부사이고 품종수도 미국, 유럽에 비해 적다. "다양한 품종이 공급된다면 소비자 선택권이 넓어지고 가격 변동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게 연구팀 생각이다.
윤주영 기자

관련 이슈태그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