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본사 몰리자, 그제야 경영진 나와
금융 당국, 구영배 대표에 자금 계획 요구
외부 수혈·지분 매각 거론, 실현 가능성 의문
환불을 위해 모인 소비자, 판매자(셀러)에게 주지 못한 정산금만 최소 1,700억 원 등 티몬, 위메프 사태가 만들어 낸 피해의 파장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 총책임자이자 티몬, 위메프 모기업인 큐텐그룹을 이끄는 구영배 대표는 뒤에 물러선 채 사과도 설명도 없다.
2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번 사태로 소비자가 환불을 요구하며 본사에 몰려들자 그제야 모습을 드러낸 최고위급 인사는 위메프의 류화현 대표(24일), 티몬의 권도완 운영사업본부장(26일)이다. 이들은 현장에서 고개를 숙이며 환불 조치를 안내했다.
반면 큐텐 본사가 있는 싱가포르에서 18일 귀국한 구 대표는 얼굴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25일 "피해 구제, 결제 재개, 정산금 지연 등을 해결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보도자료를 낸 류광진 티몬 대표 같은 메시지조차 내지 않았다. 구 대표는 몇몇 매체에만 "위기 대응 조치를 신속히 하고 상황을 안정시키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소비자와 셀러는 물론 티몬, 위메프 직원들도 구 대표를 비롯한 고위급 임원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며 '폭발 직전'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 대표는 티몬, 위메프 정상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①환불액·미정산금 자금 마련 ②PG사(전자결제대행사)의 카드 결제 취소·신규 거래 차단 해제 ③주요 셀러와 거래 재개 등을 고민 중으로 전해졌다. 최근 구 대표가 삼성전자, LG전자 등 가전 제품 판매를 대행하는 총판 업체와 간담회를 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가전은 여행과 함께 티몬, 위메프의 주요 상품이다.
가장 주목받는 건 자금 동원력이다. 금융 당국은 현재 구 대표 측에게 자금 조달 계획을 요구한 상황이다. 그런데 피해 규모가 수천억 원대라 환불액, 미정산금 지급을 위한 자금이 충분할지 미지수다.
윗선 무책임에, 직원도 '폭발 직전'
당장 금융 당국은 티몬, 위메프의 셀러가 제때 받지 못한 정산금을 1,600억~1,700억 원 규모로 파악하고 있다. 큐텐은 2023년 3월 숙박·레저 플랫폼 야놀자로부터 '인터파크커머스'를 1,871억 원에 사들이면서 주지 못한 인수 대금 1,680억 원도 필요하다.
여기에다 미정산금 추가 발생, 소비자 환불액까지 고려하면 큐텐이 확보해야 할 자금은 더 불어날 수밖에 없다. 티몬 본사에선 '5,000억~7,000억(티몬) + 예상 1조 이상'이란 메모가 발견되기도 했다. 티몬 직원이 쓴 글로 추정되는 이 메모 속 금액은 미정산금 등 피해 규모를 보여준다는 시각이 많다.
하지만 이날 티몬이 본사를 찾은 현장 고객에게 환불 몫으로 준비한 돈이 30억~40억 원이라고 밝힌 데서 알 수 있듯 자금 여력은 바닥난 것으로 보인다. 티몬 본사에서 결제 취소액을 되돌려달라는 고객만 2,000명을 넘어 회사 측이 마련한 금액으로 모두 환불이 가능할지 불투명하다.
자금 마련 카드로는 외부 수혈, 자산·지분 매각 등이 거론된다. 큐텐이 주요 주주인 미국 몬스터홀딩스, 원더홀딩스로부터 자금을 빌리면 꽉 막힌 돈줄은 숨통을 틀 수 있게 된다. 다만 티몬, 위메프가 생사 기로에 서 있어 이들이 지원에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다.
큐텐이 본사 또는 계열사 자산을 담보로 은행권에서 돈을 빌리거나 지분 등을 파는 방안도 있다. 티몬, 위메프는 물론 2월 인수한 북미·유럽 기반의 플랫폼 위시 등 큐텐 산하 계열사의 기업 가치가 높지 않다는 게 걸림돌이다. 구 대표가 인수할 당시보다 싸게 계열사를 팔아야 할 수 있어서다.
큐텐과 핵심 계열사 큐익스프레스가 티몬, 위메프에 자금을 지원하기도 쉽지 않은 여건이다. 싱가포르기업청에 따르면 두 회사의 누적 결손금(수입보다 지출이 많아 생긴 손실)은 2022년 기준 6,000억 원이라 계열사를 도울 형편이 아니다. 업계 관계자는 "티몬, 위메프 사태는 아직 정확한 피해가 드러나지 않았다"며 "구영배 대표가 직접 나오는 게 혼란을 줄이기 위한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