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어려운 말 쓰는 의사들

입력
2024.11.20 18:30
수정
2024.11.20 21:42
27면
0 0

편집자주

욕설과 외계어가 날뛰는 세상. 두런두런 이야기하듯 곱고 바른 우리말을 알리려 합니다. 우리말 이야기에서 따뜻한 위로를 받는 행복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코가 먼저 환절기를 알아챈다는 이가 많다. 코를 중심으로 얼굴 모양을 만드는 뼈 안 공간은 코곁굴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코가 먼저 환절기를 알아챈다는 이가 많다. 코를 중심으로 얼굴 모양을 만드는 뼈 안 공간은 코곁굴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부비동이 어디인지 물었다. “종로구 부암동은 알겠는데 글쎄…” “경기도 부천 쪽이지? 가본 것 같기도 하고.” 고향이 부산인 후배한테도 물었다. “선배, 제가 서울에서 산 지 30년이 넘었는데도 모르는 동네가 억수로(대단히) 많습니다. 강남 쪽인가 봐요? 거서는(그곳에선) 안 살아봐서요.”

환절기마다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흘러 힘들어하는 친구는 ‘부비동’ 말만 들어도 기분이 나쁘단다. 병원을 서너 군데 다녔지만 쉬운 말로 설명하는 의사는 한 명도 못 만났단다. 어디 이 친구뿐일까. 눈이 뻑뻑해 병원을 찾은 후배는 “맥립종이다. 당장 째고 고름을 짜내지 않으면 실명할 수도 있다”는 의사 말에 덜덜 떨었단다. ‘맥립종’이 ‘다래끼’인 걸 알고 나서야 편안한 마음으로 째고 왔단다.

병원에서 알아듣기 어려운 말을 들으면 환자든 보호자든 겁이 나고 화도 날 게다. 코피를 비출혈, 콧물은 비루, 코 막힘을 비폐색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뭘까. 말은 알아듣게 하는 게 중요하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 분야라면 더욱 그렇다.

부비동(副鼻洞)은 코를 중심으로 얼굴 모양을 이루는 뼈 안의 공간이다. 우리말로 ‘코곁굴’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은 “머리뼈에 있는 공기 구멍. 위턱굴·이마굴 등으로 얇은 끈끈막에 싸여 있다”고 설명한다. 이 부위에 염증이 생겨 고름이 차면 부비동염, 흔한 말로 축농증이다. 우리말로는 코곁굴염이다.

감기로 병원에 가도 어려운 말들이 날아다닌다. “비말로 인한 감염 가능성이 높으니 마스크를 꼭 착용하세요.” 비말이 뭐냐고 물으니 타액이란다. “침이에요. 기침, 재채기는 물론 말하는 사이 침으로 옮길 수 있으니 마스크를 꼭 쓰세요”라는 대답을 기대했지만 못 들었다.

감기를 고뿔로 말하는 의사를 만나고 싶다. 순우리말 고뿔의 어원은 ‘곳블’이다. ‘고ㅎ(코)+ㅅ+블(불)’의 형태다. 코에서 나는 불인데, 감기에 걸린 사람은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줄줄 흐르는 콧물을 계속 닦거나, 막힌 코를 뚫기 위해 킁킁거리면 코에서 불이 난다. 무릎을 탁 치게 하는 재미있는 말 고뿔은 ‘곳블’과 ‘곳불’을 거쳤다.

어릴 적 이맘때, 우리 집 안방 윗목엔 콩나물시루가 놓여 있었다. 뒤집어쓴 검은 천을 걷고 물 한 바가지를 뿌려 주면 머리만 큰 콩들에서 다리가 쑥쑥 자라났다. 콩나물들이 뿜어대는 물기로 방 안은 늘 촉촉했다. 엄마가 아침저녁으로 끓이는 콩나물국에 집 안엔 온기가 그득했다. 된바람에 문풍지가 파르르 떨던 그날도 고뿔은 감히 집 안으로 들어오지 못했다.






노경아 교열팀장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