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따뜻한 밥, 공손한 손

입력
2024.12.18 18:30
수정
2024.12.19 10:12
27면
0 0

편집자주

욕설과 외계어가 날뛰는 세상. 두런두런 이야기하듯 곱고 바른 우리말을 알리려 합니다. 우리말 이야기에서 따뜻한 위로를 받는 행복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갓 지은 가마솥 밥에서 구수한 내가 피어오른다. "속이 든든해야 안 추워~" 엄마의 목소리가 들린다. 코리아타임스 자료사진

갓 지은 가마솥 밥에서 구수한 내가 피어오른다. "속이 든든해야 안 추워~" 엄마의 목소리가 들린다. 코리아타임스 자료사진


따뜻한 말이 그리운 계절이다. 볕, 구들, 아궁이, 아랫목… “속이 든든해야 안 추운 법이여~” 엄마의 말을 떠올리며 점심 먹으러 가는 길. 회사 근처 남대문시장엔 화톳불이 칼바람을 재우고 있다. 화톳불가로 빙 둘러선 상인들 틈에서 ‘타닥타닥’ 장작 타는 소리가 들려온다. 남산 아래 건설 현장에서도 화톳불이 노동자의 언 손과 발을 녹일 것이다. 움츠러든 어깨를 펴주는 화톳불. 따뜻한 말에 화톳불을 얹었다.

맘 통하는 이들과 밥 먹는 자리는 늘 행복하다. 단골 식당 사장의 정겨운 인사가 입맛을 돋운다. “된장찌개 드실 거죠? 김장을 일찍 담갔더니 벌써 잘 익었어요. 흰밥에 척 걸쳐 드셔봐요.” 반찬 몇 가지와 공깃밥이 밥상에 올랐다. 의식이라도 치르듯 다 같이 밥뚜껑에 두 손을 얹었다. 고영민의 시 ‘공손한 손’의 주인공들처럼.

“추운 겨울 어느 날/ 점심을 먹으러 식당에 들어갔다/ 사람들이 앉아/ 밥을 기다리고 있었다/ 밥이 나오자/ 누가 먼저랄 것 없이/ 밥뚜껑 위에 한결같이/ 공손히/ 손부터 올려놓았다.”

날이 추워지면 식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휴대폰을 보던 사람도, 이야기꽃을 피우던 사람들도 밥이 나오면 밥뚜껑 위에 손을 올린다. 뜨거운 걸 잘 만지는 친구는 밥공기를 아예 감싸 쥔다. 시인의 노래처럼 밥 앞에선 누구나 공손하다. 어쩌면 모은 두 손은 자신의 건강과 행복을 바라는 기도일지도 모르겠다.

밥상의 주인공은 밥이다. 그래서 예부터 밥은 만들지 않고 지었다. 동사 ‘짓다’는 우리 삶에 중요한 것을 만들 때 어울린다. 밥을 짓고 옷을 짓고 집을 짓는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재료를 들여 밥, 옷, 집 등을 만들다”로 설명한다. 땅에 씨를 뿌려 기르고 거두는 과정도 귀한 일이다. 그래서 농사도 짓는다고 말한다.

어디 이뿐인가. 건강을 되찾는 약도 정성껏 짓는다. 짓는 이의 정성이 담겨야 아픈 이가 빨리 낫는다. '짓다'는 창작 행동에도 잘 어울린다. 글을 짓고 시를 짓고 노랫말을 짓는다. 아이가 태어나면 부모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기원하며 이름을 짓는다.

밥을 앙구는 엄마의 뒷모습을 본 적이 있는지. 밥 짓는 모습만큼이나 정성스럽다. '앙구다'는 음식이 식지 않게 불 위에 놓거나 따뜻한 데에 묻어 둔다는 뜻이다. 밥을 앙구고, 국도 앙군다. 전기밥솥이 없던 시절, 집집마다 아랫목에 손을 넣으면 앙궈 둔 밥그릇이 따뜻하게 만져지곤 했다. 식구를 위하는 엄마의 따뜻한 마음처럼 밥은 이불 품에서 식지 않았다. 따뜻한 기억을 떠올리니 두 손이 절로 모아진다.




노경아 교열팀장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