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헬기·경찰만 봐도 심장이 철렁"… 시간 흘러도 가슴 옥죄는 '계엄 트라우마'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헬기·경찰만 봐도 심장이 철렁"… 시간 흘러도 가슴 옥죄는 '계엄 트라우마'

입력
2024.12.31 12:30
0 0

'12·3 불법계엄 사태' 후 시민들 덮친 트라우마
국회 지킨 보좌진·현장 주민 "불안, 불면 일상"
"정치·경제 혼란 계속 '서울의 밤' 떠오르게 해"

12월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몇 시간 뒤인 4일 새벽 한 시민이 국회 경내로 진입하는 전투기를 촬영하고 있다. 박시몬 기자

12월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몇 시간 뒤인 4일 새벽 한 시민이 국회 경내로 진입하는 전투기를 촬영하고 있다. 박시몬 기자


“계엄에도 후유증이 있나 봐요.”

서울 용산구에 사는 김미림(29)씨는 경찰 버스가 보이면 식은땀이 나 언젠가부터 길을 멀리 돌아간다고 29일 털어놨다. 휴대폰으로 밤새 지켜본 '12·3 불법계엄 사태' 당일 여의도 국회 앞과 용산 대통령실 앞에 깔려있던 수천 명의 경찰이 떠올라서다. 그날 이후부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싶어 종일 속보를 확인하느라 불면증까지 걸렸다. 견디다 못해 찾은 병원에서 '계엄으로 인한 충격으로 보인다'는 진단과 함께 약물을 처방받았다.

계엄이 남긴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를 이제야 실감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계엄과 탄핵소추안 투표불성립, 가결 등 상황이 급박하게 흘러갈 땐 미처 느끼지 못했던 심리적 고통이 뒤늦게 훨씬 더 크게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령을 발표한 가운데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내부로 진입한 계엄군과 국회 보좌진들이 충돌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령을 발표한 가운데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내부로 진입한 계엄군과 국회 보좌진들이 충돌하고 있다. 뉴시스

특히 계엄의 공포를 직접 겪은 경험자들의 후유증은 더 크다. 계엄 선포 직후 다른 보좌진들과 함께 국회 담을 넘고, 계엄군과 몸싸움을 벌였던 심모(39) 비서관은 요즘 헬리콥터 소리만 들려도 깜짝 놀라고 출근길 국회 경비대만 봐도 심장이 내려앉는다. 그는 "계엄 당시엔 '일단 버텨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는데 그다음 주부터 이런 증상들이 나타났다"고 털어놨다. 국회 안엔 심 비서관과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한다. 그는 "'의원실이 종합병원이 됐다'는 말이 나온다"고 씁쓸해했다. 대통령 전용기 등이 오고 가는 서울공항 근처에 거주하는 서모(55)씨 역시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 직후에도 공항을 오가는 비행기 소리에 상황이 완전히 끝난 게 아닐까 걱정돼 한숨도 못 잤다"며 "요즘에도 종종 (비행기) 환청을 듣는다"고 토로했다.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에 나간 시민들도 마찬가지다. 부산에 거주하는 박모(27)씨는 "대통령이 처벌은커녕 제대로 수사도 받지 않는 모습을 보니 진짜 2차 계엄이 터지는 건 아닐지 걱정돼 잠을 설치기 일쑤다"라고 했다. 지난 22일 남태령 고개에서 경찰 차벽에 가로막힌 농민들과 함께 밤샘 집회를 벌인 취업준비생 김모(33)씨도 "정부, 경찰과 군에 대한 신뢰가 한번 무너지니 회복이 잘 안 된다"며 "계엄 여파로 경제까지 타격을 입어 취업도 더 힘들어질 것 같아 우울하다"고 한숨을 쉬었다.

16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 동십자각 앞에서 열린 ‘윤석열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집회에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16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 동십자각 앞에서 열린 ‘윤석열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집회에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트라우마 '정상'... 일상 회복 놓지 말아야"

전문가들은 이런 증상이 예외적인 일이 아니라고 말한다. 포고령 선포로 일시적이었지만 일상이 마비되고 치안 체계가 무너진 경험은 앞서 벌어졌던 대형 사회적 참사와 마찬가지로 시민들 가슴에 깊은 상처를 남긴 만큼 트라우마로 언제든 발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계엄 주동자들이 책임을 회피하거나 탄핵 심판이 지지부진하게 진행되는 등의 상황이 '서울의 밤'을 계속 상기시킨단 분석도 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정치적 불안이나 환율 폭증 등 생활에 지장이 생기니 계엄이 아직 해결되지 않았음을 깨닫고, 사건 당시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라며 "낙관적인 자세로 일상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회복에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심민영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장도 "계엄은 전 세대가 공유한 집단 트라우마로 목격 사실 자체로 위협과 공포가 될 수 있다"며 "권역 트라우마 센터에서도 계엄과 관련된 심리 지원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유진 기자
문지수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