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8일 파업 전공의ㆍ전임의에게 내린 업무개시명령을 수도권 지역에서 전국으로 확대했다. 또 업무개시명령에 불응한 의사 10명을 경찰에 고발했다. 전날 고발 방침을 밝혔다 대학 교수진까지 파업에 가세할 움직임을 보이자 강경대응으로 돌아섰다. 이에 맞서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 "우리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9월 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의사들의 무책임한 대응에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의사들의 파업이 이어지면서 그 피해는 온전히 환자들의 몫이 되고 있다. 부산의 약물에 중독된 40대 환자가 26일 병원들로부터 해당 전문의가 없다는 이유로 진료 거부를 당해 숨졌다. 28일에는 경기 의정부시에서 병원 4곳의 ‘수용 불가’ 통보를 받아 제때 치료받지 못한 30대 응급 환자가 사망했다. 진료 연기나 퇴원 권유, 입원 제한 등으로 고통받는 환자들도 빠르게 늘고 있다.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우선해야 할 의사들에게 일말의 책임 의식이 있는지 의문이다.
파업 의사들에 대한 국민 여론도 싸늘하다. 온라인 맘카페는 파업에 참여한 병원 명단을 공유하며 해당 병원 불매 운동에 나서고 있다. 대한간호사협회는 “의료인의 윤리적 책임을 저버리는 진료거부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리얼미터의 26일 여론조사에서도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이 ‘정당하다’는 응답이 51%로 ‘일방적 결정’(42%)보다 우세했다.
거듭 강조하지만 의사들의 파업은 명분이 없다. 정부는 이미 “코로나19 상황이 끝날 때까지 관련 정책 추진을 중단하고, 상황이 끝난 후 사회적 협의체를 꾸려 정책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의협이 정부 제안에 "진정성을 느낀다"며 잠정 합의해 놓고 돌아서서 정책을 백지화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볼모로 정부와 끝까지 싸워 무엇을 얻어내겠다는 건지 이해하기 어렵다. 의사들은 하루 속히 진료 현장으로 복귀하고, 사회적 협의체에 참여해 대화로 해결하는 것이 합당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