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극심한 저출산으로 학령인구가 급감하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어서 대학의 위기는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대전환과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로 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대학은 혁신적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산업화 시대의 ‘대학 3.0’을 넘어서 인공지능 시대의 ‘대학 4.0’으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어려운 전통적 대학의 틀을 과감하게 깨기 위해 많은 대학이 벽 허물기를 통해 창의와 융합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2023년 새로 시작된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는 비수도권 대학을 대상으로 선정된 대학에 5년간 최대 1,000억 원과 과감한 규제 특례를 지원하는 역대급 프로젝트다. 1차 연도에 선정된 10개 글로컬대학의 특징을 살펴보면 대학 내 학과의 벽 허물기(무전공 입학과 편제 조정), ‘대학 간 벽 허물기(통합), 대학과 지역사회, 산업계의 벽 허물기(지산학 연계)’로 요약할 수 있다. 벽 허물기는 다른 표현으로 하면 연대의 강화와 융합을 통한 시너지 창출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이 지역, 산업과 벽을 허물고 지역 발전의 허브가 되는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정부는 2025년부터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라이즈·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Education)을 시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 라이즈는 기존 중앙정부 주도의 대학 재정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지자체가 중심이 돼 지역의 대학을 지원해 대학이 지역을 중심으로 동반성장하는 모델이다. 중앙정부의 개별사업 중심의 지원과 평가, 규제에서 벗어나 지역 혁신 관련 대학 지원 예산을 통합해서 지자체에 지원하고, 이를 지자체가 지역 내 대학들과 협력해 활용하는 방식이다.
새롭게 디자인되고 있는 라이즈 체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큰 틀에서 몇 가지 원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지자체는 지역 내 대학이 상생할 수 있도록 특성화된 지역의 공동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그동안 평가를 통한 경쟁을 바탕으로 개별 대학의 혁신을 유도해 왔다. 하지만 대학의 벽을 허물고 지역 혁신으로 승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대학의 역량을 결집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목표가 중요하다. 예컨대 서울의 경우 세계적 도시로서의 경쟁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대학의 글로벌화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비수도권의 경우에는 특히 지역 소멸의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 산업과 대학이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갖추는 생태계를 마련해야 한다. 비수도권 지역에 지정되는 글로컬대학이 지역혁신 생태계의 구심점이 돼 지역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 대학의 교육과 연구경쟁력 향상을 선도하는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이 지역 소멸의 위기를 극복하는 해법이 될 수 있다.
셋째, 기존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에 포함돼 있는 대학의 규제를 개혁해 대학의 창의적인 혁신을 지원해야 한다. 개별 사업별로 톱다운식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따르게 하는 방식의 기존 재정지원 사업은 개별 대학의 입장에서 규제로 작용해왔다. 대학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창의적으로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자율성을 보장할 때 지속가능한 혁신이 가능하다.
대학이 지역의 혁신생태계의 중심이 돼야만 지역의 성장 엔진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새로운 대학혁신 지원체계인 라이즈와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가 대학들이 혁신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스스로 벽을 허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학혁신 지원정책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