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편집자주
우리가 사는 지구촌 곳곳의 다양한 ‘알쓸신잡’ 정보를 각 대륙 전문가들이 전달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귀환이 세계 경제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옆 나라 일본도 예외가 아니다. 트럼프 당선자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일본 재계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게이단렌의 도쿠라 마사카즈 회장은 "일본 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언급했다. 도쿠라 회장의 기자회견이 있던 지난달 26일, 닛케이 평균 주가는 한때 700엔 이상 하락하기도 했다.
일본 경제계의 불안이 커진 상황에서 지난달 29일(한국시간 30일), 트럼프 당선자가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만나 식사를 함께 했다는 보도가 전해지자 일본도 적지 않은 충격을 받은 듯하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비롯해 세계 각국의 면담 요청에도, 트럼프 측은 취임 전에는 어느 나라의 정상과도 면담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표명해 왔었다. 이시바 총리와의 면담이 성사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인 것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트뤼도 총리의 전격 방문이 성사되자 그 심리적 파장이 일본 정재계에도 꽤 큰 것으로 보인다. 주요 7개국(G7) 정상 중에서 취임 전 트럼프를 처음 만난 이가 트뤼도 총리가 됐다는 것이 같은 G7 회원국인 일본에는 심리적 압박으로 다가온 듯하다. 2016년 대선에서 처음 당선됐을 때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뉴욕으로 달려가 가장 먼저 회담을 가졌기 때문에, 일본 언론들은 이시바 총리와 대비시키며 보도하고 있다. 이시바 총리와 트럼프 당선자와의 첫 전화 회담이 단 5분 만에 끝났던 것을 두고도, 이시바가 트럼프의 맹우였던 아베를 비판해 온 '정적'이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추측마저 나온다.
재계에서는 미일의 경제적 관계가 무역에서 직접 투자로 무게중심이 옮겨간 만큼, 이를 적극적으로 어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본은 트럼프 1기 당시인 2019년 캐나다와 영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대미 투자국으로 부상했으며, 일본 기업의 투자가 미국 지역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적극적으로 어필함으로써 보호무역의 희생양이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의 상황은 일본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트럼프의 귀환과 보호무역주의의 강화는 한국과 일본 간 협력의 새로운 계기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두 나라는 미국의 경제 압박에 직면할 경우,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향후 양 정부 간 동 사안에 대한 긴밀한 협의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